지난달 31일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이외에 또 다른 무인기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 군은 북한이 상당한 수의 무인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지난달 31일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이외에 제3의 무인기 존재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가 발견된 건 오후 4시 20분쯤.
앞서 오후 12시 42분쯤 백령도에선 해병대 6여단이 5분여간 3차례 걸쳐 벌컨포를 사격했습니다.
국방부에서 파악한 북한 무인기의 비행경로는 소청도를 거쳐 대청도를 지나 백령도까지입니다.
오후 2시 47분쯤 무인기가 대청도 상공에 머물렀기 때문에 해병대가 벌컨포를 발사한 시간과 2시간 차이가 납니다.
해병대 탐지레이더에는 특정 물체가 탐색된 게 분명하지만 우리 군이 격추 시킨 무인기는 아닐 확률이 높은 이유입니다.
벌컨포의 최대 사거리는 2km, 당시 무인기는 고도 6km에서 비행했던 사실도 다른 무인기 존재 논란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당시 탐지레이더에 특정 물체가 탐색된 건 분명하지만, 군 당국은 분석 중이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인터뷰>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여러 가지 가능성을 두고 다 분석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 군은 북한이 적지 않은 무인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무인기 개발과 생산에 뛰어들고 있는 추세인데 북한도 예외는 아니라는 겁니다.
다만 개발을 시작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대량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지는 조사 중입니다.
우리 군이 보유한 레이더가 소형 무인기를 탐지하는데 한계점이 드러난 상황에서 효과적 타격이 가능한 레이더 확보 마련에 대한 논의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산악지형과 서울과 같은 도심 지역은 타격방법이 다릅니다.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그래서 그런 상황별로 맞는 대응 시스템을 갖추도록 지금 노력하고 있습니다. "
청와대 상공에서도 20초간 무인기가 머물렀을 가능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지는 가운데 국방부는 내년까지 청와대에도 저고도 레이더를 배치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이연아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10 (2013년~2015년 제작) (209회) 클립영상
- 박 대통령 "공정한 콘텐츠산업 생태계 마련돼야" 1:45
- 콘텐츠 마이스터고 개교…한중 글로벌펀드 조성 2:10
- 日 초등교과서 "한국, 독도 불법점거"…강력 규탄 2:15
- "강력 규탄…독도 침탈·역사왜곡 단호 대처" 3:05
- 500km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성공…내년 배치 1:49
- 또다른 무인기 파악중…"북, 많은 무인기 보유" 2:18
- FTA 10년…"기회와 위험 분석…새 전략 필요" 2:54
- 내일 '식목일'…"우리 강산 푸르게" 1:57
- 노랗게 활짝 핀 산수유 절정 [국민리포트] 2:27
- 눈 속에 꽃피는 대관령의 봄 [국민리포트] 2:12
- 세계적 건축가 이타미 준 '바람의 조형전' [국민리포트]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