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6·25전쟁 작전지도 등 희귀기록물 공개
등록일 : 2014.06.24
미니플레이

6.25전쟁 당시 전장에서 사용됐던 작전지도가 복원돼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또 6.25기념행사 기록물도 함께 공개됐는데요,

전쟁 직후부터 열린 6.25 기념식의 변천사도 엿볼 수 있습니다.

김유영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1950년 6월25일 새벽 남침을 개시한 북한군을 맞아 국군 제6사단은 춘천지역에서 3일동안 방어에 나섭니다.

전쟁 초기 국군이 무기력하게 후퇴하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방어전에 성공하면서, 전쟁의 판도를 바꾼 계기를 만듭니다.

이때 사용됐던 작전명령서에는 전투 상황별 작전계획과 피해통계는 물론, 주민철수 계획까지 구체적으로 담겨 있습니다.

중공군의 공격으로 10여일동안 열 두차례나 혈전이 벌어졌던 백마고지 전투.

간단하게 그려진 작전지도에서 당시 얼마나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갔는지가 엿보입니다.

6.25전쟁이 끝난 직후, 중앙청 광장이 시민과 학생들로 발디딜틈 없이 가득 찼습니다.

전쟁 발발 3주년을 맞아 열린 6.25 기념 행사.

너도나도 무력에 의한 북진통일을 외쳤고, 거리에는 깃발을 든 학생들의 행진이 끝없이 이어졌습니다.

전쟁 발발 10주년 기념식에서는 시청 광장에서 군악대의 연주에 맞춰 의장대의 현란한 시범 행진이 펼쳐졌습니다.

싱크 말자막> 대한뉴스(1960년)

수많은 시민들은 씩씩한 의장대의 시범을 구경하면서 10년 전 6.25 때와는 달리 세계에서 손꼽는 강군이 된 우리 국군에게 우리 국군에게 깊은 신뢰감을 표명했습니다.

깊은 신뢰감을 표명했습니다.

우리나라를 도와 전쟁에 참가했던 16개 참전국을 기리는 사진전도 열렸습니다.

6.25전쟁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웅변 대회가 열리는가 하면, 당시 시작된 국가재건운동에 맞춰 신생활복을 입은 여배우들이 시가행진을 벌이는 모습이 이색적입니다.

70년대와 80년대에는 전쟁의 폐허를 딛고 점차 발전해가는 도시의 모습을 담은 문화영화가 제작됐고, 음악회와 전시회 등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려 전쟁이 주는 의미를 되새기게 했습니다.

KTV 김유영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