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조 등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학자를 모셨던 서울 도봉구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시대 불교 유물이 대량 출토됐습니다.
불교의식 때 사용했던 '금강령'은 지금까지 발견된 고려시대 동일 유물 가운데 제작 기법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됩니다.
임상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승려들이 불도를 닦을 때 쓰는 도구인 금강령.
색은 다소 바랬지만 전체를 감싸는 금빛 색채가 은은한 아름다움을 드러냅니다.
한 잎 한 잎 연꽃 문양으로 장식된 손잡이.
그 아래 방울 부분에는 오대명왕과 사천왕의 얼굴 표정까지 섬세하게 새져겨 있습니다.
방울 안에 매달아 흔들어 소리가 나도록 하는 물고기 형태의 '탁설'은 구슬을 물고 있는 모습이 매우 독특합니다.
조선 전기의 서원인 도봉서원터에서 고려시대 불교 유물이 대거 발견됐습니다.
이번에 출토된 유물은 총 77점.
모두 청동과 금동제로 유적의 성격을 규명하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유물들은 도봉서원의 기단에서 발견됐는데 건물을 파서 묻은 흔적이 없기 때문에 도봉서원이 세워지기 전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조성됐던 절인 영국사 시절에 묻은 것으로 보입니다.
녹취> 이창엽 연구실장 / 서울문화유산연구원
조선시대 전기에 숭유억불 정책에 의해서 서원을 지을 때 절을 철폐하고 지은 예가 많았습니다. 그런 예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 '도봉사'란 글자가 새겨져 있는 향로 등 일부 청동제기는 부근에 있던 고려시대 도봉사에서 유물들을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연구 가치가 높을 것이라고 조사단은 설명했습니다.
문양이 매우 정교하고 보존상태가 좋은 금강저와 금강령 등은 '국보급'으로 평가됩니다.
녹취> 주경미 박사 / 금속공예전문가 (PIP)
"이런 도상(문양)은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발견이 됐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고요. 그 다음에 우리나라에서 나온 금강령 중에서는 유일하게 사리공(사리 보관 부분)의 흔적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사단은 이번 발굴 유물이 화려하고 뛰어났던 고려시대 금속 기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KTV 임상재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