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스마트폰이 약수 수질도 알려준다
등록일 : 2015.02.23
미니플레이

등산할 때 마시는 약수, 정말 꿀맛이죠.

하지만 약수의 수질을 제대로 알 수 없어 선뜻 마시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요.

경기도가 도내 약수터 이용자에게 스마트폰을 통해 음용 적합 여부를 알려주는 약수터 안심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어 화제입니다.

손준수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경기도 수원의 한 약수터입니다.

등산복 차림의 한 시민이 약수를 받아 마시고 있습니다.

조금씩 나오는 약수를 받아 마신 시민의 얼굴 표정이 밝습니다.

경기도가 제공하는 약수터 안심서비스를 통해 이 약수터물이 안전하게 마실 수 있다는 사실을 미리 알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천한얼(24) / 경기도 수원시 서부로

"그동안 약수터를 올 때마다 이용가능한지를 바로 확인할 수 없어 찝찝했는데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약수터 안심서비스는 약수터 이용자가 약수터에 부착된 태그에 스마트폰을 대면 음용적합여부 등 수질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먹는물 안심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해야 합니다.

그 설치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구글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한 뒤 '먹는물 안심서비스'를 검색해 설치하는 방법이 있고 더 쉬운 방법은 약수터에 부착된 태그에 스마트폰을 가져다대기만 하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지금까지는 약수터에 수질검사서를 붙여 대장균이나 기타세균의 오염실태 등 음용 적합 여부를 알렸습니다.

수질검사서가 종이여서 훼손되기 쉬운데다 검사결과를 제때 확인할 수 없어 이용자들의 불안감이 컸습니다.

현재 경기도내 스마트폰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태그가 설치돼 있는 약수터는 도내 405 군데 가운데 210군데에 이릅니다.

인터뷰> 김태수 팀장 / 경기도 수자원본부 토양지하수팀

"7월에 저희가 도민들의 반응이라든가 시스템상의 문제점 등을 분석해서 분석 결과 좋게 나오면은 올 하반기나 내년도 상반기에는31개 전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에 있습니다."

경기도내 405 개 지정약수터를 이용하는 도민들은 하루 평균 6만 4천여 명에 이릅니다.

국민리포트 손준수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