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서울 창신동 프로젝트…봉제·문화 동네로 변신 [국민리포트]
등록일 : 2015.02.27
미니플레이

이어서 국민들이 직접 전하는 생생한 소식 국민리포트입니다.

서울 창신동은 도심에 있으면서도 낙후된 지역 중의 한 곳인데요.

동대문 의류시장의 뿌리인 이 지역이 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봉제 연구와 문화의 동네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김제건 국민기자가 찾아봤습니다.

[기사내용]

서울 동내문을 중심으로 남쪽과 동쪽의 모습은 극명하고 차이가 납니다.

남쪽의 쇼핑 빌딩들과는 대조적으로 동쪽의 창신동은 여전히 낙후된 상태로 남아있습니다. 

과거에 머물러 있는 창신동 일대가 재개발과 뉴 타운 지역에서 해제되면서 주민들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태호 / 서울 종로구 지봉로

"재개발이던 재생 지구든 어떻게든 우리 창신동이 하루빨리 발전됐으면 좋겠습니다."

인터뷰> 최성은, 서울 종로구 왕산로

"동네가 발전 되서 좋죠. 안 그래요."

우리나라 퍠션의 중심지로 불리는 동대문 쇼핑몰의 뿌리가 바로 창신동 일데입니다.

지금도 3천여 개나 운영 중인 봉제 공장들이 환경 개선과 디자이너 등 유수한 인력의 유치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진숙, 종로구 왕산로

"별로 차이가 아니고요. 똑 같아요, 90년대 나 지금이나.." 

서울 종로구 창신동 일대에 '박수근 백남준 예술문화 거리' 조성도 추진됩니다.

백남준 미디어 아티스트의 생가터와 지금은 국밥집으로 변한 박수근 화백의 옛 작업실를 중심으로 창신동을 새로운 문화 예술 동네로 만든다는 구상입니다.

인터뷰> 박정길 / 서울 창신 1동 동장

"2013년에 뉴 타운 지구가 해제되면서 주민 스스로 개발할 수 있는 건이 조성돼서 앞으로 주민들이 원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주거환경 개선, 봉제 재생, 동대문과 낙산 성터을 연계해 관광과 옛 문화가 숨쉬는 창신동으로 만들기 위해 종로구도 도시재생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지원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임유미 / 서울 종로구청 도시개발과

"주민들이 스스로 하는 사업을 잘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민과 관이 함께 지원하고 있습니다." 

주민과 관이 함께 진행하는 창신동 프로젝트는 낙후된  동네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민리포트 김제건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