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백제역사유적지구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등록일 : 2015.07.06
미니플레이

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게습니다.

이충현 기자, 어세오세요, 앞서 백제역사 유적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정확하게 뭘 말하는 것인지 궁금한데요.

네, 세계유산은 지난 1972년, 유네스코 관련 협약에 따라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말하는 건데요, 인류의 보편적이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세계 각국의 부동산 유산으로 등재가 되면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증했다는 의미가 됩니다.

유네스코 유산은 말씀드린 세계유산 말고도 인류무형유산, 세계기록유산이 있습니다.

앵커>

인류무형유산과 세계기록 유산에 대해 좀 더 설명해 주시죠.

기자>

인류무형유산은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말로 전해 내려오는 구전이나 무형 유산을 말하는 겁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1년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이 등재된 이후, 판소리, 강강술래, 택견과 아리랑, 그리고 김장문화 등 17개가 등재됐습니다.

그리고 '세계기록유산'은 말그대로 세계적 가치가 있는 책이나 문서, 편지같은 기록유산을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 난중일기 등이 등재됐고, 최근엔 새마을운동 기록물이 등재된 상황입니다.

앵커>

네, 이번에 등재가 확정된 백제 역사 유적지구는 이 가운데 세계유산으로 분류되는데, 이번까지 우리나라는 모두 12개 유산이 등재됐다고 하는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리나라 세계유산은 1990년대부터 유네스코에 등재되기 시작했는데요, 해인사 장경판전은 13세기에 만들어져, 고려 대장경판 8만여 장을 보존해온 가치를 인정받아 선정됐고요.

1405년에 지어진 창덕궁은 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인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인 궁으로, 자연환경과 완벽에 가까운 배치와 조화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석굴암·불국사, 종묘, 수원화성이 있습니다.

앵커>

2000년 이후에도 세계유산 등재가 활발하게 추진됐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2000년 이후 지금까지 모두 7개의 우리나라 유산이 등재됐는데요, 고인돌 선사유적은 지금부터 2천년에서 3천년 전 무덤이자 장례의식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선사시대 문화가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고, 당시 기술과 사회상을 생생하게 담고 있다는 평입니다.

제주도는 세계적인 규모의 용암동굴과 멸종위기종의 서식지가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화산 생성과정 연구와 생태계 연구의 학술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고요, 가파른 산자락에 천혜의 요새로, 또, 비상시 왕이 머물 수 있는 왕궁까지 조성돼 높은 가치를 인정받은 '남한산성'이 지난해 등재됐습니다.

기자 스튜디오>

이외에도 경주역사 유적지구와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로 하회와 양동 등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돼 있습니다.

앵커>

네, 이 기자 오늘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