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오늘 사실상 메르스 종식을 선언했습니다.
70일 동안 지속된 메르스 사태는 우리 사회에 많은 과제를 남겼는데요.
제2의 메르스 사태를 막기 위해선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임상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감염병의 발병 원인과 특성을 파악하고 감염경로를 추적하는 역학 조사는 신종 감염병이 유입됐을 때 방역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2000년 역학조사관 제도를 도입하고 사스와 신종플루, 에볼라 등 감염병에 대응해왔습니다.
지난 5월 20일 평택성모병원에서 국내 첫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을 때도 방역당국은 역학조사관을 일선에 투입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관은 34명.
전국적으로 퍼진 메르스 사태를 진단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숫자였습니다.
특히 이 가운데 보건연구관 2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32명은 군복무 대신 공중보건 업무를 하는 공중보건의로 병역 의무기간을 마치면 민간병원으로 돌아가는 비정규 인력입니다.
국회는 지난달 일명 메르스법을 통과시켜 역학조사관을 64명 이상으로 늘리도록 했지만, 전문가들은 더 나아가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전병율 /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
"신규 역학조사관이 교육을 받고 제대를 하는 반복되는 양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양질의 역학조사 활동을 기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조금 어렵습니다.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 양질의 역학조사관을 배출하고 이들이 실제 감염병 발생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어야... "
가족의 간병과 병문안 문화도 개선해야할 과제입니다.
확진환자 186명 가운데 가족이나 보호자, 방문객은 65명에 달했습니다.
환자 3명 중 1명이 의료진 대신 환자를 돌보거나 문병을 갔다가 감염된 겁니다.
전염에 취약한 이같은 병원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간병인이나 가족 대신 간호인력이 환자를 돌보는 포괄간호서비스가 대안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 전국 31개 병원에서 포괄간호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고 오는 2018년 전국 확대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력 부족이 걸림돌입니다.
지난 2013년 우리나라의 병상당 간호 인력은 0.28명으로 OECD 평균인 1.25명에 크게 밑도는 수준입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황나미 선임연구위원은 포괄간호서비스 시행을 전국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기존 국내 간호사 인력 수준보다 1.5배에서 2배 많은 4만7천 명이 더 필요하다고 추산했습니다.
또 이를 위해 약 4조 6천억 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고 예상했습니다.
두 달 넘게 우리나라를 휩쓸고 지나간 메르스 사태는 일단락됐습니다.
제2의 메르스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병원문화 개선과 의료체계 재정립, 성숙한 시민의식이 과제로 남았습니다.
KTV 임상재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