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해 황교안 국무총리는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해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현 역사교과서의 문제점과 국정화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주요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많은 국민들은 현행 역사교과서가 문제가 많다는 데는 공감을 하면서도 그러한 비정상적인 교과서 발행은 철저한 검정제도를 통해서 해결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씀하시기도 합니다.
문제는 검정 제도를 통해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우리의 현실입니다.
정부가 사실 왜곡과 편향성이 있는 교과서 내용을 올바르게 고칠 것을 요구해도 상당수 역사교과서 집필진은 이를 거부하고 오히려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남발하고 있습니다.
법원에서도 교과서 내용이 왜곡되게 전달되어 학생들이 잘못 이해할 수 있으므로 수정명령이 적절하다고 판결한 바 있습니다.
일반 국민이 봐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내용들입니다.
다양성보다는 편향된 사관을 가진 사람들이 지금의 비정상(적인) 역사교과서 집필을 주도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현재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 다수는 특정단체, 특정학맥에 속해 있는 사람들입니다.(분들입니다.) 이들이 새 교과서가 발행될 때마다 매번 집필진으로 반복 참여하고 있습니다.
결국 검정교과서가 몇 종(種)인지는 형식적 숫자일 뿐이고, 실제로는 다양성이 실종된, 사실상 1종의 편향 교과서와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일부 표현을 부분적으로 수정한다고 해도 편향된 서술은 고칠 수 없었고,(없었습니다.) 그래서 다양성은 사라지고 편향성만 남은 역사교과서, 학교의 자율적 선택권은 사실상 원천적으로 배제되고 있는 현행 검정 발행제도는 실패했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입니다.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한 정부의 진정성을 믿어 주십시오.(주시기바랍니다.)
일각에서는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로 ‘친일?독재 미화’의 역사왜곡이 있지 않을까 우려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일은 있을 수 없습니다. 성숙한 우리 사회가 이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않을 것입니다.)
정부도 그러한 역사왜곡 시도들에 대해서는 좌시하지 않을 것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