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집을 살 때 주택 담보대출 받으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막상 대출을 받으려고 하면 어떤 대출 상품을 선택해야 할지또 상환 계획은 어떻게 잡아야 할지 막막한 부분이 많습니다.
이런 정보를 한 번에 알 수 있는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안심주머니앱이 출시됐는데요.
최영은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기사내용]
심한 전세난으로 주택 마련 결심을 한 직장인 배승필 씨.
주택담보대출 관련 상담을 받으려고 은행을 방문했지만 원하는 정보를 한 번에 얻기가 쉽지 않고, 맞벌이로 은행을 여러 번 방문할 시간을 내기도 어려웠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인을 통해 알게된 안심주머니 앱이 배 씨의 고민을 덜어줬습니다.
인터뷰> 배승필 / 안심주머니앱 사용자
"주택을 구입하는 계기가 돼서 주거래 은행 뿐 아니라 여러 은행을 방문해서 상담을 했는데 명확하게 이해가 (안 됐습니다.) 이 앱을 우연히 알게 됐는데 아이 엄마와 충분히 시간을 확보해서 상환 스케줄이나 지출 규모를 서로 공유하고 협의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인 안심주머니 앱은 자신의 소득 수준과 상환 가능액 등 정보를 입력하면 관련된 금융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돼 있습니다.
먼저 대출 한도를 알아보는 기능.
PIP 싱크> 부미정 / 주택금융공사 주임
"연 소득액 5천만원을 입력하면 자기 소득에 맞는 권장 대출한도와 안전 상환 대출한도가 표시됩니다. 권장 대출한도는 소득에서 상환원리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13%로 적용한 한도이며 안전 상환 대출한도는 약 30%를 적용한 한도입니다.."
권장 대출한도는 전국 평균적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사용해 계산되고, 안전 상환 대출한도는 이 한도를 넘으면 상환의 어려움이 커진다는 의미로 유럽연합의 사례를 참고해 정해졌습니다.
본인의 상환가능 범위를 미리 알아보고, 상환 계획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겁니다.
인터뷰> 권대영 /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장
"안심주머니 앱은 빚을 상환 능력 범위 내에서 빌리고 처음부터 나눠갚는 관행을 정착시키고자 합니다."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대출 상품을 추천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기자 현장음 >
"대출 추천 시뮬레이션이 있는데, 실제로 어떤 대출을 받으면 좋은지 추천해주는 건가요?"
싱크> 이철우 /주택금융공사 팀장
"주택 가격 2억 5천에 대출을 1억정도 받고 싶다. 그리고 나는 자금에 여유가 있어서 월 100만원 정도 상환할 수 있다고 했을 때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공사의 원리금 균등 분할 상품에 10년 짜리, 금리3.3%이고,원리 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상품을 추천해드립니다."
실제 대출 시 총이자를 계산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과거와 같이 무리해서 집을 사더라도 이후에 집값이 크게 올라 빚을 상환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졌기 때문에 분할상환 방식이 경제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pip 싱크> 부미정 /주택금융공사 주임
"대출금 2억원, 대출금리 3.0%, 대출기간 20년. 원리금 균등상환을 선택하고 그 결과를 조회하면 원리금 균등상환의 총 이자금액은 약 6천6백만 원, 만기일시상환 시의 총 이자금액은 약 1억 2천 정도로 원리금 균등상환 방식을 이용할 때(이자 절감이 가능합니다)
안심주머니앱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장터인 앱 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며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령층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간단한 메뉴로 구성돼있습니다.
현장멘트> 최영은기자 / michelle89@korea.kr
이 앱을 이용하면 실질적인 혜택도 받을 수 있는데요.
주택금융공사 보금자리론의 대출이자를 0.02% 까지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1억 원의 대출을 30년간 이용할 때 총 40만 원의 이자를 절약하게 되는 겁니다.
주택금융공사의 홈페이지에서 보금자리론을 신청할 때 앱을 통해 발급 받은 쿠폰번호를 입력하면 곧바로 할인이 적용됩니다.
안심주머니앱은 출시 1주일 만에 사용자가 6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에서는 곧바로 사용이 가능하고, 아이폰에서는 다음 주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KTV 최영은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