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강도 높은 공공기관 부채 감축 노력으로 공공부문 부채의 증가세가 둔화됐습니다.
정부는 공공부문 전반으로 재정 건전성을 확보해 부채를 GDP의 40% 수준으로 줄여나갈 방침입니다.
신국진기자입니다.
지난해 공공부문 부채는 957조 3천억원.
국내총생산 GDP의 64.5% 입니다.
이중 국가 간 재정 건전성을 비교할 수 있는 일반정부 부채는 620조 6천억원으로 GDP의 41.8%, 비금융공기업 부채는 408조 5천억원으로 GDP 대비 27.5%입니다.
공공부문 부채는 1년 전과 비교해 1.6% 증가한 58조6천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GDP 대비 비율과 증가규모는 줄어드는 등 부채 증가속도가 둔화됐습니다.
실제, 2011년에서 2012년 증감률은 9%였고, 2012년에서 2013년 증감률은 9.5% 였습니다.
국제적으로도 일반정부 부채는 OECD 국가 중 최저 수준이고, 공공부문 부채는 두번째로 양호했습니다.
정부는 이처럼 부채 증가세가 둔화한 것은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의 부채 감축계획을 강력히 추진한 결과로 정부는 풀이했습니다.
예우영 기획재정부 재정건정성관리과 사무관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정부에서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 부채 감축 계획을 강력히 추진해서 비금융 공기업 부채가 전년에는 0.2%p 늘었는데 올해에는 1.0%p 감소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정부는 국가 채무를 엄격한 재정 총량으로 관리하는 등 중장기적 계획으로 관리합니다.
특히 세입기반을 확충하고, 강력한 재정개혁을 통해 2019년까지 부채규모를 40% 초반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930 (2015~2016년 제작) (124회) 클립영상
- 최전방 부대 방문…'철저한 대비태세' 당부 1:49
- 연말연시 맞아 군부대 방문·이웃에 온정의 손길 1:43
- '독일인 신부' 트라우너씨…국민훈장 영예 1:54
- "조기추경 통해 누리과정 예산 편성해야" 1:55
- "대기업 적용대상 특정업종 제한은 불합리" 2:48
- 국민과 함께 만든 '국가브랜드'…여정 마무리 2:02
- 공공부문 부채 957조원…증가세 둔화 2:01
- 대한뉴스로 본 '그 시절' 성탄절 풍경 1:49
- 박 대통령 "이웃 돌아보는 따뜻한 성탄절 기원" 0:26
- 문체부, 2016년 문화관광축제 43개 선정 0:29
- 우수문화상품 개발·해외지출 업무협약 체결 0:38
- 어린이집 CCTV 설치 완료…아동학대 사전예방 탄력 [현장속으로]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