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미국의 선택···한반도에 미칠 파장은?
등록일 : 2016.11.09
미니플레이
MC>
계속해서 충격을 넘어 대혼란에 빠진 미국 현지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클린턴 후보에게 큰 지지를 보내셨던 분이죠?
마크 김 버지니아 주 하원의원 미국 현지 분위기와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Q1 >
이번 대선 결과, 대역전극이라는 평가 나오고 있습니다.
의원님께서는 클린턴 후보를 지지하셨는데, 이번 선거 결과에 크게 실망하셨을 것 같습니다.
이번 선거 결과, 예상하셨나요?
Q2 >
이번 선거 결과, 미국인들의 변화에 대한 열망을 반영했다라고 분석할 수 있을까요?
Q3 >
출구 조사 결과가 나왔을 당시 분위기는 어땠습니까?
Q4 >
지금 미국 현지 언론에서는 이번 대선 결과에 대해 어떤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까?
Q5 >
의원님의 지역구죠?
버지니아 주가 대선 풍향계다라는 얘기들 많이 하지 않습니까.
이번 대선에서 버지니아 주의 약 11만 명의 유권자, 클린턴에 큰 지지를 보냈죠?
Q6 >
미국 현지 언론에서 클린턴의 당선 가능성 넘쳤었는데요.
왜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고 보십니까?
언론이 대선 결과를 제대로 분석하지 못한 건가요?
어디에서 승패가 갈렸다고 분석하십니까?
Q7 >
그런데, 3차까지 있었던 미 대선토론에서는 클린턴의 승리였다라는 평가 많았었죠?
역대 대선에서는 대선토론에서 당락이 많이 갈리지 않았었나요?
Q8 >
후보 간의 폭로와 비방전에 상당히 심했는데요.
역대 대선에서 가장 추잡한 선거 과정이었다라는 평가도 나왔는데요.
이번 대선 과정 어떻게 바라보셨습니까?
Q9 >
대선 전날까지 테러 가능성 계속 제기됐는데요.
오늘 결국 미국 대선 투표장서 총기난사사건이 발생해 1명 사망 3명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죠.
오늘 이 총격 사건도 트럼프에 득이 됐다고 볼 수 있을까요?
Q10 >
그럼, 아웃사이더라 불리는 트럼프, 어떤 인물입니까?
한 국가의 대통령으로서 자격이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하십니까?
Q11>
하지만 NBC-WSJ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4%가 "누가 돼도 미국이 더 분열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선거 후유증도 상당할 것이라는 관측 나오고 있는데요.
잘 수습이 될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Q12 >
트럼프 당선 가능성이 점쳐지는 순간부터 증시가 출렁였습니다.
브렉시트급 후폭풍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됐는데요.
미국 경제,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Q13 >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한미 관계, 그리고 한반도 정세 어떻게 예측하십니까?
MC>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지금까지 마크 김 버지니아 주 하원의원과 얘기 나눴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계속해서 충격을 넘어 대혼란에 빠진 미국 현지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클린턴 후보에게 큰 지지를 보내셨던 분이죠?
마크 김 버지니아 주 하원의원 미국 현지 분위기와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Q1 >
이번 대선 결과, 대역전극이라는 평가 나오고 있습니다.
의원님께서는 클린턴 후보를 지지하셨는데, 이번 선거 결과에 크게 실망하셨을 것 같습니다.
이번 선거 결과, 예상하셨나요?
Q2 >
이번 선거 결과, 미국인들의 변화에 대한 열망을 반영했다라고 분석할 수 있을까요?
Q3 >
출구 조사 결과가 나왔을 당시 분위기는 어땠습니까?
Q4 >
지금 미국 현지 언론에서는 이번 대선 결과에 대해 어떤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까?
Q5 >
의원님의 지역구죠?
버지니아 주가 대선 풍향계다라는 얘기들 많이 하지 않습니까.
이번 대선에서 버지니아 주의 약 11만 명의 유권자, 클린턴에 큰 지지를 보냈죠?
Q6 >
미국 현지 언론에서 클린턴의 당선 가능성 넘쳤었는데요.
왜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고 보십니까?
언론이 대선 결과를 제대로 분석하지 못한 건가요?
어디에서 승패가 갈렸다고 분석하십니까?
Q7 >
그런데, 3차까지 있었던 미 대선토론에서는 클린턴의 승리였다라는 평가 많았었죠?
역대 대선에서는 대선토론에서 당락이 많이 갈리지 않았었나요?
Q8 >
후보 간의 폭로와 비방전에 상당히 심했는데요.
역대 대선에서 가장 추잡한 선거 과정이었다라는 평가도 나왔는데요.
이번 대선 과정 어떻게 바라보셨습니까?
Q9 >
대선 전날까지 테러 가능성 계속 제기됐는데요.
오늘 결국 미국 대선 투표장서 총기난사사건이 발생해 1명 사망 3명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죠.
오늘 이 총격 사건도 트럼프에 득이 됐다고 볼 수 있을까요?
Q10 >
그럼, 아웃사이더라 불리는 트럼프, 어떤 인물입니까?
한 국가의 대통령으로서 자격이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하십니까?
Q11>
하지만 NBC-WSJ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4%가 "누가 돼도 미국이 더 분열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선거 후유증도 상당할 것이라는 관측 나오고 있는데요.
잘 수습이 될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Q12 >
트럼프 당선 가능성이 점쳐지는 순간부터 증시가 출렁였습니다.
브렉시트급 후폭풍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됐는데요.
미국 경제,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십니까?
Q13 >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한미 관계, 그리고 한반도 정세 어떻게 예측하십니까?
MC>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지금까지 마크 김 버지니아 주 하원의원과 얘기 나눴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