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벼 재배면적 3만 5천ha 감축…쌀 수급 안정
등록일 : 2017.02.09
미니플레이
앵커>
정부가 쌀 시장의 공급과잉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벼 재배면적을 3만 5천ha 줄이고, 가공용과 사료용 쌀의 공급은 늘리기로 했는데요.
브리핑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네임수퍼> 김종훈 농림수산식품부 식량정책관
안녕하십니까?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입니다.
오늘 2017년 중장기 쌀 수급안정 보완대책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번 대책은 기존 중장기 대책을 바탕으로 유통 ·수출 원조 ·법령 제도개선 분야를 새롭게 추가하고, 2017년 벼 재배면적 감축, 재고관리 계획 등을 보완하였습니다.
올해 벼 재배면적 감축목표를 74만 4,000㏊로 3만 5,000㏊줄였고, 연말 재고 목표는 지난해 시장 격리 물량을 감안해서 144만 톤으로 재설정하였습니다.
아울러, 쌀, 쌀 가공제품 수출 목표를 1억 불로 설정을 했으며, 최초의 식량 해외원조 등 새로운 수요처 확대, 복지용 쌀 수요확대 방안 등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서 지난해 30만 톤 수준이던 쌀 초과 공급물량을 연차적으로 감축해서 2019년 이후에는 수급균형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둘째, 5㎏이하 소포장 유통의 확대, 쌀 등급표시제 ·혼합금지제 개선, 소비권장기한 표시제 도입 검토를 통해 소비자 수요에 맞는 고품질 쌀을 뒷받침하겠습니다.
농협양곡의 활성화, 미곡종합처리장 통합 및 시선지원 등을 통해서 농가의 벼 매입 ·처리능력을 높여나갈 계획입니다.
셋째, 쌀 가공식품 개발, 소비자 시식판매를 위한 카페테리아 형태의 테스트베드인 ‘라이스랩(Rice Lab)' 등 쌀 가공식품 프랜차이즈 지원, 아침간편식 활성화 등을 통해 쌀 소비 감소폭을 완화해 나가겠습니다.
넷째, 복지용 ·가공용 ·사료용 쌀 공급확대 등을 통해서 지난해 64만 톤 수준이던 정부양곡 판매량을 올해에는 118만 톤 수준까지 확대하겠습니다.
복지용 쌀의 경우 수급자 대상 공급가격을 할인폭을 확대하고, 5㎏이하의 소포장도 추가하며, 배송 시의 신변노출 방지 등 수요 확대 방안을 강구하겠습니다.
다섯 째, 아세안 플러스 한 ·중 ·일 쌀 비축제를 통해서 올해 1,000톤 미만의 소규모 원조를 상반기에 실시하고 인도적 식량지원을 위한 식량 원조협약 가입을 위한 국내의 절차를 연내에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식량 원조가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쌀 직불제, 공공비축제 등 쌀 관련 정책을 적정 생산 유도 방향으로 개편하고, 선제적 수급안정조치를 위한 양곡관리법령 개정에도 착수하겠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