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사는 세상···다문화 시대 함께 살아가기 [라이브 이슈]
등록일 : 2017.05.08
미니플레이
다문화가족이 늘면서 한국 사회도 점차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사회 곳곳에서 학생으로, 직장인으로 또는 이웃으로 우리의 일부가 된 다문화가족!
글로벌 시대, 한국과 세계를 이어줄 다문화가족들을 우리는 얼마나 알고 또 이해하고 있을까요?
가정의 달을 맞아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김태석 이사장과 다문화 사회,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고민해봅니다.
1.
벌써 한국건강가정 진흥원을 2년째 이끌어 오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난 2년 동안 현장에 계시면서 우리 가정의 인식변화와 붕괴 등 많은 모습을 지켜보셨을 것 같은데요.
간단히 소회를 말씀해주신다면?
2.
'한국건강가정 진흥원'에서는 가족정책 사업을 담당하고 계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3.
‘한국건강 가정진흥원’에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실시하고 계신데요.
현재 운영 중인 서비스는 어떤 것들인가요?
4.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가정에 대해 우리 국민들의 인식은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보십니까?
5.
어느덧 다문화가족 자녀가 20만 명을 웃돌고 있습니다.
이들 중에는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인으로 자란 친구들도 많지만 외국에서 성장한 중도입국 자녀들도 상당수일 텐데요.
다문화 가족 자녀들의 교육환경과 여건은 어떻습니까?
5-1.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병행되고 있나요?
더불어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나 청소년을 위한 특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중언어 교육 같은...
6.
다문화 가정 내에서 느끼는 언어-문화적인 갈등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갈등해결을 위한 노력도 하고 계시죠?
7.
올해 다문화가족정책 시행계획이 확정됐습니다.
이중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확대 소식도 있던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8.
결혼이민자들의 사회 참여도 많이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들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도 정부 지원이 따라야 할 텐데요?
9.
다문화 가족 지원에 대해 특혜라는 시선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하실 말씀이 있으실 듯 한데요?
10.
한국건강가정 진흥원에서는 이밖에도 많은 일들을 수행하고 계신데요.
가족(정책)서비스 품질관리에 관한 일을 하고 계시죠.
어떤 사업들인가요?
11.
일·가정양립을 위한 지원사업도 하고 계시죠?
12.
많은 분들이 현대사회 가정의 위기를 이야기합니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정의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 더불어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요즘 아이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살색 대신 연주황색이라고 배운다고 하죠.
여전히 살색을 구분하는 건 오래 시간 편견에 익숙해진 어른들입니다.
차별이 아닌 차이를~ 틀림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 만들기!
다문화사회 함께 사는데 필요한 우리의 자세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건강가정 진흥원 김태석 이사장 이었습니다.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사회 곳곳에서 학생으로, 직장인으로 또는 이웃으로 우리의 일부가 된 다문화가족!
글로벌 시대, 한국과 세계를 이어줄 다문화가족들을 우리는 얼마나 알고 또 이해하고 있을까요?
가정의 달을 맞아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김태석 이사장과 다문화 사회,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고민해봅니다.
1.
벌써 한국건강가정 진흥원을 2년째 이끌어 오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난 2년 동안 현장에 계시면서 우리 가정의 인식변화와 붕괴 등 많은 모습을 지켜보셨을 것 같은데요.
간단히 소회를 말씀해주신다면?
2.
'한국건강가정 진흥원'에서는 가족정책 사업을 담당하고 계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3.
‘한국건강 가정진흥원’에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실시하고 계신데요.
현재 운영 중인 서비스는 어떤 것들인가요?
4.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가정에 대해 우리 국민들의 인식은 얼마나 개선되었다고 보십니까?
5.
어느덧 다문화가족 자녀가 20만 명을 웃돌고 있습니다.
이들 중에는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인으로 자란 친구들도 많지만 외국에서 성장한 중도입국 자녀들도 상당수일 텐데요.
다문화 가족 자녀들의 교육환경과 여건은 어떻습니까?
5-1.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병행되고 있나요?
더불어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나 청소년을 위한 특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중언어 교육 같은...
6.
다문화 가정 내에서 느끼는 언어-문화적인 갈등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갈등해결을 위한 노력도 하고 계시죠?
7.
올해 다문화가족정책 시행계획이 확정됐습니다.
이중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확대 소식도 있던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8.
결혼이민자들의 사회 참여도 많이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들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도 정부 지원이 따라야 할 텐데요?
9.
다문화 가족 지원에 대해 특혜라는 시선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하실 말씀이 있으실 듯 한데요?
10.
한국건강가정 진흥원에서는 이밖에도 많은 일들을 수행하고 계신데요.
가족(정책)서비스 품질관리에 관한 일을 하고 계시죠.
어떤 사업들인가요?
11.
일·가정양립을 위한 지원사업도 하고 계시죠?
12.
많은 분들이 현대사회 가정의 위기를 이야기합니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정의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 더불어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요즘 아이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살색 대신 연주황색이라고 배운다고 하죠.
여전히 살색을 구분하는 건 오래 시간 편견에 익숙해진 어른들입니다.
차별이 아닌 차이를~ 틀림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 만들기!
다문화사회 함께 사는데 필요한 우리의 자세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건강가정 진흥원 김태석 이사장 이었습니다.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