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한 산림, 건강검진으로 지킨다. 산림생태계 첫 건강 진단 결과는? [라이브 이슈]
등록일 : 2017.06.02
미니플레이
산림청이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전국 숲의 건강-활력도를 조사해 우리 산림에 대한 첫 건강 진단 결과를 내놨습니다 진단 결과, 전국 산림의 81.3%는 건강한 반면 도시 산림은 점점 쇠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자세한 내용,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김경하 산림생태연구과장에게 들어봅니다.
1.
산림건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첫 결과를 발표하셨는데 이번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요?
2.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된 ‘제1차 산림건강성 평가’ 어떤 항목들과 기준을 갖고 국가 산림건강성을 평가한 것인가요?
3.
가장 궁금한, 산림건강성 종합 평가 결과는 어떤가요?
4.
이번 산림건강성 평가 중 나무들의 건강지표인 수관활력도의 건강 등급 비율이 89.
9%로 나타났는데요.
수관활력도~가 무엇인지, 산림건강성 평가에서 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지 궁금합니다.
5.
전국적으로 우리나라 산림을 구성하는 나무들은 얼마나 다양할까요?
이를 종다양성 이라고 하던데, 종다양성 지수가 높으면 건강한 건가요?
6.
‘산에 가서 이런 나무들이 많으면 건강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산림건강성 육안 확인 방법이 있을까요?
7.
우리 산야의 토양은 얼마나 건강할까요?
또, 토양 건강성 지표는 어떻습니까?
8.
기후변화나 환경문제에 대한 다양한 대응방안이 나오고 있죠.
이번 산림건강성 모니터링이 이런 환경 정책들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겠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9.
산림건강성 평가 결과를 보면, 도시 산림에 대한 평가는 매우 저조합니다.
원인규명과 보전대책이 시급할 것 같은데요.
10.
봄에는 미세먼지, 다가올 여름엔 폭염이 기승을 부릴텐데요.
산림건강성이 미세먼지나 폭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11.
작은 실천이 큰 결과를 도출해내는 법이죠.
혹시 산림건강을 위해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야 할 방법들이 있다면 추천해주시죠.
건강한 산림일수록 미세먼지와 폭염을 줄이는 효과가 크죠.
정기적인 산림 건강검진으로 우리 산림 생태계 건강성이 더욱 높아지고 많은 환경 위해 요인들도 사라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지금까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김경하 산림생태연구과장과 함께 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자세한 내용,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김경하 산림생태연구과장에게 들어봅니다.
1.
산림건강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첫 결과를 발표하셨는데 이번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요?
2.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된 ‘제1차 산림건강성 평가’ 어떤 항목들과 기준을 갖고 국가 산림건강성을 평가한 것인가요?
3.
가장 궁금한, 산림건강성 종합 평가 결과는 어떤가요?
4.
이번 산림건강성 평가 중 나무들의 건강지표인 수관활력도의 건강 등급 비율이 89.
9%로 나타났는데요.
수관활력도~가 무엇인지, 산림건강성 평가에서 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지 궁금합니다.
5.
전국적으로 우리나라 산림을 구성하는 나무들은 얼마나 다양할까요?
이를 종다양성 이라고 하던데, 종다양성 지수가 높으면 건강한 건가요?
6.
‘산에 가서 이런 나무들이 많으면 건강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산림건강성 육안 확인 방법이 있을까요?
7.
우리 산야의 토양은 얼마나 건강할까요?
또, 토양 건강성 지표는 어떻습니까?
8.
기후변화나 환경문제에 대한 다양한 대응방안이 나오고 있죠.
이번 산림건강성 모니터링이 이런 환경 정책들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겠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9.
산림건강성 평가 결과를 보면, 도시 산림에 대한 평가는 매우 저조합니다.
원인규명과 보전대책이 시급할 것 같은데요.
10.
봄에는 미세먼지, 다가올 여름엔 폭염이 기승을 부릴텐데요.
산림건강성이 미세먼지나 폭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11.
작은 실천이 큰 결과를 도출해내는 법이죠.
혹시 산림건강을 위해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야 할 방법들이 있다면 추천해주시죠.
건강한 산림일수록 미세먼지와 폭염을 줄이는 효과가 크죠.
정기적인 산림 건강검진으로 우리 산림 생태계 건강성이 더욱 높아지고 많은 환경 위해 요인들도 사라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지금까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김경하 산림생태연구과장과 함께 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