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정상외교 본격 시동, 한미정상회담 의제와 전략은? [라이브 이슈]
등록일 : 2017.06.29
미니플레이
취임 후 첫 해외순방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 3박 5일 강행군에 돌입했습니다.
장진호 전투 기념비 헌화를 시작으로, 두 정상간 단독 회담을 비롯해 무려 20여개에 달하는 공식일정을 소화할 예정인데요 한미동맹 강화와 북핵문제 해결 등 민감한 현안들을 어떻게 논의하게 될지 국립외교원 김현욱 교수와 전망해보겠습니다.
1.
역대 가장 빠른 한미정상회담입니다.
그만큼 한반도 상황에 급박함을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한데요.
문재인 정부 첫 한미정상회담의 의미...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2.
문재인 대통령은 워싱턴에 도착해 장진호 전투 기념비 헌화를 시작으로 공식일정을 시작했죠.
첫 방미일정을 장진호 기념비 헌화로 선택한 이유가 있을까요?
3.
이번 한미정상회담 테이블에 오를 주요 현안은 어떤 것들일까요?
4.
정상회담을 앞두고 그간 사드 문제가 가장 뜨거운 이슈였습니다.
표면적인 조율이 이뤄질 수 있으리라 보십니까?
5.
웜비어 사망으로 인해 북미 간 대화는 더욱 어려워진 상황이죠.
혹시 이 부분에 있어 이번 정상회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적 제안이 나올 가능성도 있을까요?
7.
한미정상회담의 최우선 의제, 바로 북핵문제입니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합의된 대북전략이 만들어질 가능성도 있을까요?
8.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과 관여’라는 전략은 한미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고도 하죠.
물론 압박강도에는 이견이 따르겠죠.
어떤가요?
9.
사드비용 논란은 사실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는데요.
실제 한미정상회담 중 방위비분담금이 정상회담 테이블에 오를 꺼라 보십니까?
10.
트럼프 정부가 한미FTA로 인한 미국 무역적자 발생을 지속적으로 문제삼아온 만큼 이를 둘러싼 심리전도 만만치 않으리라는 예상입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11.
이번 경제사절단은 미국 투자나 교역-사업실절 계획- 신산업 분야 등을 기준으로 선정됐습니다.
이번 경제 사절단의 역할과 기대효과는 어떤 부분들일까요?
본격적인 일정은 내일과 모레 진행됩니다.
첫 정상간 만남이니만큼 좋은 성과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지금까지 국립외교원 김현욱 교수였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장진호 전투 기념비 헌화를 시작으로, 두 정상간 단독 회담을 비롯해 무려 20여개에 달하는 공식일정을 소화할 예정인데요 한미동맹 강화와 북핵문제 해결 등 민감한 현안들을 어떻게 논의하게 될지 국립외교원 김현욱 교수와 전망해보겠습니다.
1.
역대 가장 빠른 한미정상회담입니다.
그만큼 한반도 상황에 급박함을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한데요.
문재인 정부 첫 한미정상회담의 의미...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2.
문재인 대통령은 워싱턴에 도착해 장진호 전투 기념비 헌화를 시작으로 공식일정을 시작했죠.
첫 방미일정을 장진호 기념비 헌화로 선택한 이유가 있을까요?
3.
이번 한미정상회담 테이블에 오를 주요 현안은 어떤 것들일까요?
4.
정상회담을 앞두고 그간 사드 문제가 가장 뜨거운 이슈였습니다.
표면적인 조율이 이뤄질 수 있으리라 보십니까?
5.
웜비어 사망으로 인해 북미 간 대화는 더욱 어려워진 상황이죠.
혹시 이 부분에 있어 이번 정상회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적 제안이 나올 가능성도 있을까요?
7.
한미정상회담의 최우선 의제, 바로 북핵문제입니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합의된 대북전략이 만들어질 가능성도 있을까요?
8.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과 관여’라는 전략은 한미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고도 하죠.
물론 압박강도에는 이견이 따르겠죠.
어떤가요?
9.
사드비용 논란은 사실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는데요.
실제 한미정상회담 중 방위비분담금이 정상회담 테이블에 오를 꺼라 보십니까?
10.
트럼프 정부가 한미FTA로 인한 미국 무역적자 발생을 지속적으로 문제삼아온 만큼 이를 둘러싼 심리전도 만만치 않으리라는 예상입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11.
이번 경제사절단은 미국 투자나 교역-사업실절 계획- 신산업 분야 등을 기준으로 선정됐습니다.
이번 경제 사절단의 역할과 기대효과는 어떤 부분들일까요?
본격적인 일정은 내일과 모레 진행됩니다.
첫 정상간 만남이니만큼 좋은 성과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지금까지 국립외교원 김현욱 교수였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