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G20 다자 정상외교 통한 한반도 정세 전망은? [라이브 이슈]
등록일 : 2017.07.07
미니플레이
지금 독일에서는 세계 주요 20개국 정상들이 모인 가운데 국제사회 현안을 논의하는 G20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G20 정상회의 최대 화두인 북핵과 미사일에 대한 국제사회 접근법과 대응책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어제 발표된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선언 주요 내용과 의미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세대 통일연구원 봉영식 전문연구위원과 함께 합니다.

1.
G20 정상회의 중간 성과와 관전포인트 간단히 우선 짚어주신다면요?

2.
당초 북한의 ICBM 도발로 인해 남북간 대화가 상당히 위축되리라는 의견이 다수였는데요.
기우였을까요?
문재인 대통령의 '신 베를린 선언'은 어떻게 보셨습니까?

3.
우리 대통령이 직접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언급한 건 최초라고 하죠.
평화협정은 주한미군 철수를 연계한 것이기 때문에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예상해보신다면요?

4.
어제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 시진핑 주석과 첫 한중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북핵 관련해 제재와 압박엔 동의했지만 사드배치에 여전히 입장 차이를 드러냈습니다.
이후 이견 조율을 위해 필요한 노력은 무엇일지요?

5.
정상회의 직전 북한 ICBM 도발로 인해 대북제재 논의도 깊어졌습니다.
중국이 대북제재 입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거나 개입할 가능성은 있을까요?

6.
중국이 추가 제재에 동의한다면 북한의 생명줄인 원유 공급에도 손을 댈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나왔는데요.
그럴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는지요?

7.
유엔안보리에서 북한 ICBM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회의를 개최해 대응책을 논의 했습니다.
현재까지는 러시아만 반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추가 대북 제재에 진통이 예상되는 가운데 추가 대북제재 가능성과 수위는 어떻게 되리라 생각하십니까?

8.
북한이 의도하는 한·미·일 대 북·중·러 대립 구도를 우려하는 의견도 있는데요?
이런 상황이라면 우리의 입장이 굉장히 중요해지죠?

10.
한·미·일 정상들이 만찬회동을 가졌습니다.
아베와 트럼프, 모두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 강한 압박을 이끌어내겠다는 입장인데요.
한반도 평화협정에 대한 얘기가 나온 만큼 6자회담 진행 가능성으로도 이어지리라 보십니까?

11.
한일 정상회담도 단독 만남을 갖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발견된 위안부 영상공개로 인해 위안부 합의 재협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요.
아베총리와의 만남에서 주요 의제로 오를지... 오른다면 추후 어떤 논의가 가능할지요?

12.
한미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로 기대가 되는 만큼 다자간 정상회의로 인해 정상외교 공백을 말끔히 해소하리라 기대해봅니다.
G20 정상회의를 통한 기대효과,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제재와 대화를 활용한 단계적이고 포괄적인 비핵화 구상이, 한반도에 평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봅니다.
지금까지 연세대 통일연구원 봉영식 전문연구위원 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