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올해 경제 성장률 3% 전망…2년 연속 3% 성장세
등록일 : 2018.01.18
미니플레이
한국은행이 우리 경제가 2년 연속 3%대 성장세를 이어가고, 내년에도 잠재성장률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관련 브리핑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국내외여건 변화 고려해 우리 경제 금년도 성장률을 3.0%로 내년도 성장률은 2.9% 전망.
금년 성장률 전망치는 10월 전망치 2.9%에 비해 0.1퍼센트 포인트 상향 조정된 것인데 지난해 큰폭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설비 및 건설 투자 증가율이 당초 예상보다 소폭 낮아지겠지만 세계 경제 회복세 지속으로 수출호조가 이어지고 정부가계소득지원과 일자리 확충을 위한 재정 지출 확대에 힘입어 소비증가세가 높아지는 점을 반영.
내년 성장률은 설비 및 건설 투자가 둔화되겠으나 세계경제 성장세지속으로 수출호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 정책 영향으로 소비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감안해 2.9%로 전망.
다음과 같은 리스크 혼재돼있다.
먼저 세계 경제의 성장세 강화에 따른 수출 및 설비 투자 개선, 대중 교외여건 개선에 따른 수출증가세 확대, 정부의 적극적 재정정책 및 북한 리스크 완화에 따른 경제 심리 개선은 성장에 상방 요인으로 작용. 반면 미국 등 보호무역주의로 교역 여건 악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고용개선세 미흡에 따른 내수회복세 약화는 성장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
물가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금년 내년 각각 1.7퍼센트.2.0퍼센트 전망.
지난해 4/4분기중 예상보다 하락한 농산물 가격이 앞으로도 안정세 예상 반영해 10월 전망치 1.8%에 비해 0.1퍼센트포인트 하향 조정.
상반기 1퍼센트 초중반 상승률 보이다 경제 성장세 지속에 따른 수요 증대.
높아진 유가 영향으로 하반기 이후 오름세 확대.
물가 오름에 근접 예상.
내년 중에는 수요측면 물 가압력 지속되면서 연평균 2퍼센트 나타낼 전망
한편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식료품.
에너지. 금년중 1.8퍼센트에서 내년중 2.0퍼센트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
향후 물가 전망 경로상에는 다음과 같은 상하방리스크 잠재.
글로벌 경기 개선으로 국내 경제 회복세 강화.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서비스요금 오름세 확대될 경우 물가오름세 전망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
반면 미국의 셰일 오일 증산으로 국제유가 예상치를 하회하거나 원화 강세가 지속되면서 수입물가 하방압력 커지는 경우 물가상승률이 전망보다 낮아질 가능성.
한국은행은 성장률 물가 전개 양상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기로 하겠습니다.
관련 브리핑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국내외여건 변화 고려해 우리 경제 금년도 성장률을 3.0%로 내년도 성장률은 2.9% 전망.
금년 성장률 전망치는 10월 전망치 2.9%에 비해 0.1퍼센트 포인트 상향 조정된 것인데 지난해 큰폭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설비 및 건설 투자 증가율이 당초 예상보다 소폭 낮아지겠지만 세계 경제 회복세 지속으로 수출호조가 이어지고 정부가계소득지원과 일자리 확충을 위한 재정 지출 확대에 힘입어 소비증가세가 높아지는 점을 반영.
내년 성장률은 설비 및 건설 투자가 둔화되겠으나 세계경제 성장세지속으로 수출호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 정책 영향으로 소비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감안해 2.9%로 전망.
다음과 같은 리스크 혼재돼있다.
먼저 세계 경제의 성장세 강화에 따른 수출 및 설비 투자 개선, 대중 교외여건 개선에 따른 수출증가세 확대, 정부의 적극적 재정정책 및 북한 리스크 완화에 따른 경제 심리 개선은 성장에 상방 요인으로 작용. 반면 미국 등 보호무역주의로 교역 여건 악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고용개선세 미흡에 따른 내수회복세 약화는 성장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
물가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금년 내년 각각 1.7퍼센트.2.0퍼센트 전망.
지난해 4/4분기중 예상보다 하락한 농산물 가격이 앞으로도 안정세 예상 반영해 10월 전망치 1.8%에 비해 0.1퍼센트포인트 하향 조정.
상반기 1퍼센트 초중반 상승률 보이다 경제 성장세 지속에 따른 수요 증대.
높아진 유가 영향으로 하반기 이후 오름세 확대.
물가 오름에 근접 예상.
내년 중에는 수요측면 물 가압력 지속되면서 연평균 2퍼센트 나타낼 전망
한편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식료품.
에너지. 금년중 1.8퍼센트에서 내년중 2.0퍼센트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
향후 물가 전망 경로상에는 다음과 같은 상하방리스크 잠재.
글로벌 경기 개선으로 국내 경제 회복세 강화.
최저임금 인상 영향으로 서비스요금 오름세 확대될 경우 물가오름세 전망보다 더 높아질 가능성.
반면 미국의 셰일 오일 증산으로 국제유가 예상치를 하회하거나 원화 강세가 지속되면서 수입물가 하방압력 커지는 경우 물가상승률이 전망보다 낮아질 가능성.
한국은행은 성장률 물가 전개 양상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기로 하겠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80회) 클립영상
- "단일팀, 우리 선수 피해 없게 합의"…20일 IOC 4자회의 02:25
- 장하성 실장 "최저임금 인상 효과, 내년 하반기 나타날 것" 02:12
- 오늘 개장한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분위기는? 04:00
- 주요 단신(18. 01. 18. 16시) 00:59
- 대한민국 3대 관광휴양도시···가평 자라섬 씽씽축제 07:23
- '평창을 넘어 평화로!' 남북 평창 실무회담 성과와 과제는? [라이브 이슈] 17:14
- 교육부의 저출산 고민 해법은? [e 브리핑] 06:59
-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공식 개항 '평창 관문' 제대로 이용하는 법 [정책 공감] 16:08
- 이 시각 주요뉴스 (18. 01. 18. 16시) 01:01
- 청와대 브리핑(18.01.18.16시) 00:42
- 한국은행 올해 경제 성장률 3% 전망…2년 연속 3% 성장세 03:47
- 고용부·중기부 업무보고… 삶의 질 개선 중점 03:07
- 복지·농·수산업 소득 기반 마련…일자리 창출 추진 01:58
- 문 대통령 "정치보복 운운에 분노 금할 수 없어" 02:08
- 벤쿠버서 20개국 외교장관 '남북 대화 지지' [월드 투데이]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