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위, 공론화 의제 발표
등록일 : 2018.06.20
미니플레이
현재 중3 학생들이 치를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에 대한 공론화 시나리오가 결정됐습니다.
최종안은 시민 참여로 결정될 예정입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관련 공론화 의제로 선정된 의제는 네 가집니다.
4개 의제는 대입제도 이해관계자와 전문가가 참여한 시나리오 워크숍을 통해 마련됐습니다.
녹취> 한동섭 /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 대변인
"특히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충실하게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첫번째 안은 각 대학이 모든 학과에서 45% 이상을 수능 위주 전형으로 선발하게 하는 형탭니다.
수능은 상대평가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실기 평가로 선발하는 학과는 제외했습니다.
두번째 안은 학생부와 수능 위주 비율을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하되, 특정 전형에는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이때 수능 전과목은 절대평가로 전환하도록 했습니다.
세번째 안도 대학 자율로 전형간 비율을 정하되 한가지 전형으로 모든 학생을 뽑는 것을 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마지막 안은 수능 위주 전형을 늘리되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종합 전형의 비율은 대학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방안입니다.
두 번째 안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능 상대평가 유지 원칙을 내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공론화위원회는 오늘부터 시민참여단 구성을 위해 대국민 조사를 실시합니다.
오늘(20일)부터 19세 이상 국민 2만 명에게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조사를 한 후 최종 400명 이상의 참가자를 선정할 방침입니다.
대입제도 개편 핵심 당사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미래세대 토론회도 개최합니다.
녹취> 김영란 /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장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통해 대입제도 개편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토론이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합니다."
400명의 시민참여단은 다음달 말까지 공론화 의제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며, 최종 공론화 결과는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에 제출될 예정입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최종안은 시민 참여로 결정될 예정입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관련 공론화 의제로 선정된 의제는 네 가집니다.
4개 의제는 대입제도 이해관계자와 전문가가 참여한 시나리오 워크숍을 통해 마련됐습니다.
녹취> 한동섭 /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 대변인
"특히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충실하게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첫번째 안은 각 대학이 모든 학과에서 45% 이상을 수능 위주 전형으로 선발하게 하는 형탭니다.
수능은 상대평가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실기 평가로 선발하는 학과는 제외했습니다.
두번째 안은 학생부와 수능 위주 비율을 대학이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하되, 특정 전형에는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이때 수능 전과목은 절대평가로 전환하도록 했습니다.
세번째 안도 대학 자율로 전형간 비율을 정하되 한가지 전형으로 모든 학생을 뽑는 것을 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마지막 안은 수능 위주 전형을 늘리되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종합 전형의 비율은 대학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방안입니다.
두 번째 안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능 상대평가 유지 원칙을 내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공론화위원회는 오늘부터 시민참여단 구성을 위해 대국민 조사를 실시합니다.
오늘(20일)부터 19세 이상 국민 2만 명에게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조사를 한 후 최종 400명 이상의 참가자를 선정할 방침입니다.
대입제도 개편 핵심 당사자인 학생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미래세대 토론회도 개최합니다.
녹취> 김영란 /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장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통해 대입제도 개편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토론이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합니다."
400명의 시민참여단은 다음달 말까지 공론화 의제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며, 최종 공론화 결과는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에 제출될 예정입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79회) 클립영상
- 불법촬영물 삭제 비용 가해자에게 받아낸다 00:26
- 책의 해, 책의 확장을 논하다! 2018 서울국제도서전 08:49
- 앞으로 가는 한반도 평화 시계···남북, 방중-방러 정상외교전 [라이브 이슈] 18:21
-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 100일···성과와 과제는? [정책 공감] 12:56
- 문 대통령 "남북경협, 남북러 3각 협력돼야" 01:51
- 당정청, '노동시간 단축 6개월 계도' 공감 01:14
- 북중정상회담 "정세 변해도 공고한 관계" 02:00
- OECD "소득주도 성장, 가계·소비 증가 기여" 02:00
- 문 대통령, 제주 예멘난민 현황 파악 지시 00:26
-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위, 공론화 의제 발표 02:16
- "해양안전 기술 한눈에"···국제 해양·안전대전 개막 02:05
- '난임고통·산후우울증' 치료지원···상담센터 개소 02:18
- 미륵사지 석탑, 20년 만에 제 모습 찾아 01:40
- 아동수당 사전 신청 시작···유의할 점은? 02:25
- 6월24일은 '전자정부의 날'···첫 기념식 개최 00:37
- 김정은 위원장 방중 이틀째..중국, 이례적 신속 확인 [월드 투데이] 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