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 멸종위기 바다거북 방류···"다시 만나자"
등록일 : 2018.08.30
미니플레이
임소형 앵커>
보호를 받아온 바다거북 13마리가 어제 제주 해안에 방류됐습니다.
방류되는 바다 거북 일부에는 추적장치를 달아 생태 연구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최영은 기자>
붉은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 등 모든 종류의 바다거북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 동물로 지정돼있습니다.
지난해 삼척 인근에서 구조된 두 마리의 바다거북과 인공부화 후 실내 수족관에서 지내온 바다거북 등 13마리가 바다로 돌아갑니다.
정부가 국제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바다거북을 되살리기 위해 자연 방류한 겁니다.
"다시 돌아와요"
바다로 돌아가는 거북 일부에는 인공위성 추적장치나 인식표 등을 부착해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바다거북 보전을 위한 생태 연구 등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방류 장소는 제주 중문의 색달해수욕장.
이미 여러 차례 바다거북의 알이 목격된 곳으로, 그물에 걸릴 위험성이 낮고 먹이가 풍부해 국내에서는 가장 좋은 서식 환경으로 평가됩니다.
인터뷰> 김영춘 / 해양수산부 장관
"(방류 후) 산란이 차후에 확인이 되면 산란지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지자체와 협의해서 즉각 시행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에도 제주 바다에 인공 부화한 바다거북 80마리를 방류하는 등 바다거북의 보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KTV 최영은입니다.
보호를 받아온 바다거북 13마리가 어제 제주 해안에 방류됐습니다.
방류되는 바다 거북 일부에는 추적장치를 달아 생태 연구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최영은 기자>
붉은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 등 모든 종류의 바다거북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 동물로 지정돼있습니다.
지난해 삼척 인근에서 구조된 두 마리의 바다거북과 인공부화 후 실내 수족관에서 지내온 바다거북 등 13마리가 바다로 돌아갑니다.
정부가 국제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바다거북을 되살리기 위해 자연 방류한 겁니다.
"다시 돌아와요"
바다로 돌아가는 거북 일부에는 인공위성 추적장치나 인식표 등을 부착해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바다거북 보전을 위한 생태 연구 등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방류 장소는 제주 중문의 색달해수욕장.
이미 여러 차례 바다거북의 알이 목격된 곳으로, 그물에 걸릴 위험성이 낮고 먹이가 풍부해 국내에서는 가장 좋은 서식 환경으로 평가됩니다.
인터뷰> 김영춘 / 해양수산부 장관
"(방류 후) 산란이 차후에 확인이 되면 산란지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지자체와 협의해서 즉각 시행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에도 제주 바다에 인공 부화한 바다거북 80마리를 방류하는 등 바다거북의 보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52회) 클립영상
- 수도권 호우특보 해제···충청·호남지역 '많은 비' 01:53
- "일자리사업 패러다임 바꿔야···지역 주도로 전환" 02:50
- 추석 민생 안정 대책···35조 자금 지원 02:41
- "부동산 투기 수요 억제·추가대책 검토" 01:29
- 유엔사, 남북 철도 공동점검 '불허' 00:32
- 트럼프 "지금 한미훈련 큰돈 쓸 이유없다" 00:35
- 일부 상조업체, '자본금 요건' 미충족···충족여부 확인해야 02:40
- KTX 정기권, 기간 선택 가능···오늘부터 판매 02:59
- 제주서 멸종위기 바다거북 방류···"다시 만나자" 01:33
- 국가생명윤리심의위, 유전자치료 규제개선안 유보 00:31
- "일자리예산 실효 위해 정부-지자체 협업" [오늘의 브리핑] 04:06
- 가을철 전국 농기계 순회 수리봉사 [뉴스팜] 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