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A 비무장화···남·북·유엔사 3자 협의체 가동
등록일 : 2018.10.17
미니플레이
임소형 앵커>
남북 군사합의서에 명시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비무장화를 위해 남과 북, 유엔군사령부가 어제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비무장화가 완료되면, 관광객들은 자유롭게 판문점을 오갈 수 있게 됩니다.
최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영은 기자>
남북의 군 당국과 유엔군사령부는 어제 판문점 남측 자유의집에서 JSA 비무장화를 위한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3자 협의체는 우선 이번 달부터 시작된 JSA 내 지뢰 제거 작업 현황 점검하고 조만간 화기와 병력을 철수하기로 합의한 만큼 양측의 초소와 경비인원, 감시 장비 등 실무 사항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첫 회의를 시작으로 향후 JSA 비무장화 이후 적용할 근무규칙과 근무 형태 등을 추가적으로 협의할 방침입니다.
녹취> 최현수 / 국방부 대변인
"앞으로 추가 남·북·유엔사 3자 협의체 회의를 통해 비무장화 조치 이행방안 및 상호검증 절차를 진행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비무장화가 완료되면 판문점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JSA 내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경비 형태도 달라집니다.
남북 군인 각각 35명이 비무장 상태에서 공동으로 경비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남북 군은 각각 노란색 바탕에 파란색으로 '판문점 민사경찰'이라고 쓴 완장을 착용하고 경비를 할 예정입니다.
JSA내 북측 초소 5곳과 우리측 초소 4곳이 철수됩니다.
다만 JSA 외곽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 인근 북측 초소 1곳과 '도보다리' 인근의 우리측 초소 1곳은 그대로 유지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남북군사당국과 유엔사는 JSA 비무장화가 정상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상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최영은입니다.
남북 군사합의서에 명시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비무장화를 위해 남과 북, 유엔군사령부가 어제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비무장화가 완료되면, 관광객들은 자유롭게 판문점을 오갈 수 있게 됩니다.
최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영은 기자>
남북의 군 당국과 유엔군사령부는 어제 판문점 남측 자유의집에서 JSA 비무장화를 위한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3자 협의체는 우선 이번 달부터 시작된 JSA 내 지뢰 제거 작업 현황 점검하고 조만간 화기와 병력을 철수하기로 합의한 만큼 양측의 초소와 경비인원, 감시 장비 등 실무 사항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첫 회의를 시작으로 향후 JSA 비무장화 이후 적용할 근무규칙과 근무 형태 등을 추가적으로 협의할 방침입니다.
녹취> 최현수 / 국방부 대변인
"앞으로 추가 남·북·유엔사 3자 협의체 회의를 통해 비무장화 조치 이행방안 및 상호검증 절차를 진행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비무장화가 완료되면 판문점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JSA 내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경비 형태도 달라집니다.
남북 군인 각각 35명이 비무장 상태에서 공동으로 경비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남북 군은 각각 노란색 바탕에 파란색으로 '판문점 민사경찰'이라고 쓴 완장을 착용하고 경비를 할 예정입니다.
JSA내 북측 초소 5곳과 우리측 초소 4곳이 철수됩니다.
다만 JSA 외곽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 인근 북측 초소 1곳과 '도보다리' 인근의 우리측 초소 1곳은 그대로 유지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남북군사당국과 유엔사는 JSA 비무장화가 정상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상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77회) 클립영상
- "한반도 평화 정착 시 한국 더 좋은 투자처 될 것" 02:17
- 문 대통령 "교황청-북한 교류 활성화 기대" 01:47
- 문 대통령-유네스코 "씨름 문화유산 등재 협력" 00:38
- 김정숙 여사, 파리 자폐아 특수학교 방문 00:36
- JSA 비무장화···남·북·유엔사 3자 협의체 가동 02:00
- 임종석 비서실장, 오늘 DMZ 지뢰제거 현장 방문 00:29
- 히말라야 원정대 시신 도착···합동분향소 설치 01:25
- 사립유치원 '비리' 무관용 원칙···종합대책 나온다 02:42
- 감정근로자 보호 의무화···위반하면 과태료 1천만 원 02:36
- 뷔페서 상추·귤 재사용 허용···초밥·튀김은 금지 02:19
- 내년부터 새 차 잦은 고장 시 교환·환불 가능 01:48
- 한국 국가경쟁력 140개국 중 15위로 2계단 상승 00:50
- 병역의무부과 통지서 내년부터 스마트폰 공지 00:41
- "한반도평화 정착시 한국은 더 좋은 투자처" [오늘의 브리핑] 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