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 기대수명 '평균 82.7세'
등록일 : 2018.12.04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지난해 국내에서 태어난 아기의 기대 수명은 얼마나 될까요?
오늘 한국인의 기대 수명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통계청이 한국인 기대수명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출생한 아기는 평균 82.7세까지 살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남자아이의 기대수명은 79.7세, 여자아이는 85.7세입니다.
남녀 기대수명 격차는 6년인데, 지난 1985년을 정점으로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습니다.
녹취> 김진 /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우리나라만 여자 기대수명이 길다기보다는 전 세계적으로 여자의 기대수명이 좀 더 긴 편이고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도 여자는 83.3세인데, 남자는 77.9세로, 전반적으로 여자 기대수명이 깁니다."
지난해 태어난 아기가 암으로 죽을 확률은 전체 사망원인 가운데 21.1%로 가장 높았고, 심장질환으로 숨질 가능성은 12%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사망원인인 암과 심장·뇌혈관 질환이 사라진다면 이 아기의 기대수명은 6.8년 더 길어집니다.
전국 시도별 기대수명은 서울(84.1년)과 경기 지역(83.1년)이 가장 길었습니다.
기대수명이 가장 짧은 지역은 충북(81.9년)과 경남(81.9년)이었습니다.
지난해 환갑(60세)을 맞은 남성은 앞으로 22.8년, 여성은 27.4년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 영상편집: 최아람)
이들의 기대수명은 10년 전과 비교해 남성은 2.8년, 여성은 2.7년 더 늘어났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지난해 국내에서 태어난 아기의 기대 수명은 얼마나 될까요?
오늘 한국인의 기대 수명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통계청이 한국인 기대수명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출생한 아기는 평균 82.7세까지 살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남자아이의 기대수명은 79.7세, 여자아이는 85.7세입니다.
남녀 기대수명 격차는 6년인데, 지난 1985년을 정점으로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습니다.
녹취> 김진 /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우리나라만 여자 기대수명이 길다기보다는 전 세계적으로 여자의 기대수명이 좀 더 긴 편이고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도 여자는 83.3세인데, 남자는 77.9세로, 전반적으로 여자 기대수명이 깁니다."
지난해 태어난 아기가 암으로 죽을 확률은 전체 사망원인 가운데 21.1%로 가장 높았고, 심장질환으로 숨질 가능성은 12%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사망원인인 암과 심장·뇌혈관 질환이 사라진다면 이 아기의 기대수명은 6.8년 더 길어집니다.
전국 시도별 기대수명은 서울(84.1년)과 경기 지역(83.1년)이 가장 길었습니다.
기대수명이 가장 짧은 지역은 충북(81.9년)과 경남(81.9년)이었습니다.
지난해 환갑(60세)을 맞은 남성은 앞으로 22.8년, 여성은 27.4년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 영상편집: 최아람)
이들의 기대수명은 10년 전과 비교해 남성은 2.8년, 여성은 2.7년 더 늘어났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15회) 클립영상
- 문 대통령, 뉴질랜드 총독과 오찬···앞서 공식환영식 01:43
- "한-뉴질랜드 우호협력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 02:04
- 문 대통령, 뉴질랜드 야당 대표 접견 00:31
- 2022년까지 "비핵화·남북 교류협력 병행 추진" 01:43
- 강경화-北 김영남 환담 "서울 답방 조속히 이뤄지길" 00:26
- '한미연합훈련' 대신 공군 단독훈련 실시 01:22
- 미·중 무역 관세 '3개월 휴전'···국내 증시에 '호재' 02:00
- 편의점 자율규약 제정···"출점은 신중·폐점은 쉽게" 02:02
- '제로페이' 전국 6만여 곳 도입···결제수수료 0%대 02:04
- 지난해 출생아 기대수명 '평균 82.7세' 01:41
- 유은혜 "온종일 돌봄 확대···올해 현장지원단 출범" 02:23
- 위판장에 저온경매장 설치···수산물 신선도 대책 수립 01:46
- 국립공원 대설주의보 시 일부 개방···"설경 만끽하세요" 02:54
- 고려 건국 1100주년 특별전···北 유물 17점 빈자리로 02:26
- 희망과 혁신···책임운영기관 성과는? 02:56
- 건보료 등 4대보험 상습체납 8천845명 공개 00:42
- 서울서 3억 넘는 집 살 때 증여·상속 여부 써내야 00:32
- 문 대통령, 뉴질랜드 국빈방문 일정 돌입 05:08
- 체크슈머 [뉴스링크] 03:48
- 미중관계와 한반도 정세 [유용화의 오늘의 눈] 04:19
- "한반도 변화 성공하면 동포에게도 보람" [오늘의 브리핑] 0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