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스마트 산단 추진···주요 내용과 기대효과는?
등록일 : 2018.12.17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정부는 2022년까지 10개의 스마트 산단을 조성하여 이를 제조혁신의 거점으로 키우기로 했는데요.
주요 내용과 기대효과에 대해 자세히 짚어보기 위해 스튜디오에 나와계신 산업통상자원부 서가람 입지총괄과장과 이야기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연: 서가람 / 산업통상자원부 입지총괄과장)
임보라 앵커>
먼저, 스마트 산단이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그렇다면, 산단 혁신이 추진되는 배경이 궁금한데요.
국내 산단의 현재 상황은 어떻습니까?
임보라 앵커>
세계 최초로 스마트 산업단지 선도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이와 같은 사례가 전혀 없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아무래도 스마트 산단이라면, 스마트 공장 확산이 우선시 될텐데요.
이번 선도 프로젝트에서는 ‘산단 유형별 맞춤형’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확산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임보라 앵커>
맞춤형이라는 것이 산단에만 맞춰져있는 것이 아닌 근로자에게도 맞춘 공간으로 조성이 된다고 하는데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스마트 산단에서 중요한 것은 ‘데이터의 연결과 공유’가 원활히 진행어야하는 것일 텐데요.
원활한 데이터의 공유에 어떤 식으로 접근할 수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내년에 먼저 국가산업단지 2곳을 선도 산단으로 선정할 예정인데요.
선도 산단의 선정 기준은 무엇인지, 선도 산단으로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한편, 신시장 창출을 위해 입주기준이 확대된다거나 규제가 완화된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특히, 태양광과 ESS(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한 에너지 인프라가 조성되고 통합 에너지 거래 플랫폼이 구축 될 것이라고 하는데요.
에너지 인프라와 거래 플랫폼은 어떻게 추진되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스마트’ 산단이라 함은 아무래도 첨단 기술이 기반이 되어야 할 텐데요.
이를 기반으로 미래형 첨단 인프라가 구축된다고 하는데,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스마트 산단 선도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스마트산단 기획단이 구성된다고 하는데요.
어떤 역할을 이행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임보라 앵커>
앞서 말씀해주셨지만, 2개 국가산단이 선도 산단으로 지정된 이후, 나머지 8개의 스마트산단 추진 체계는 어떻게 이뤄지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구체적인 스마트 산단 추진방안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는데요.
그렇다면 이렇게 스마트 산단이 추진된다면, 어떤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계획. 과제는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산업통상자원부 서가람 입지총괄과장과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고맙습니다.
정부는 2022년까지 10개의 스마트 산단을 조성하여 이를 제조혁신의 거점으로 키우기로 했는데요.
주요 내용과 기대효과에 대해 자세히 짚어보기 위해 스튜디오에 나와계신 산업통상자원부 서가람 입지총괄과장과 이야기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연: 서가람 / 산업통상자원부 입지총괄과장)
임보라 앵커>
먼저, 스마트 산단이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그렇다면, 산단 혁신이 추진되는 배경이 궁금한데요.
국내 산단의 현재 상황은 어떻습니까?
임보라 앵커>
세계 최초로 스마트 산업단지 선도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이와 같은 사례가 전혀 없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아무래도 스마트 산단이라면, 스마트 공장 확산이 우선시 될텐데요.
이번 선도 프로젝트에서는 ‘산단 유형별 맞춤형’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확산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임보라 앵커>
맞춤형이라는 것이 산단에만 맞춰져있는 것이 아닌 근로자에게도 맞춘 공간으로 조성이 된다고 하는데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스마트 산단에서 중요한 것은 ‘데이터의 연결과 공유’가 원활히 진행어야하는 것일 텐데요.
원활한 데이터의 공유에 어떤 식으로 접근할 수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내년에 먼저 국가산업단지 2곳을 선도 산단으로 선정할 예정인데요.
선도 산단의 선정 기준은 무엇인지, 선도 산단으로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한편, 신시장 창출을 위해 입주기준이 확대된다거나 규제가 완화된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특히, 태양광과 ESS(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한 에너지 인프라가 조성되고 통합 에너지 거래 플랫폼이 구축 될 것이라고 하는데요.
에너지 인프라와 거래 플랫폼은 어떻게 추진되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스마트’ 산단이라 함은 아무래도 첨단 기술이 기반이 되어야 할 텐데요.
이를 기반으로 미래형 첨단 인프라가 구축된다고 하는데,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스마트 산단 선도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스마트산단 기획단이 구성된다고 하는데요.
어떤 역할을 이행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임보라 앵커>
앞서 말씀해주셨지만, 2개 국가산단이 선도 산단으로 지정된 이후, 나머지 8개의 스마트산단 추진 체계는 어떻게 이뤄지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구체적인 스마트 산단 추진방안에 대해서 설명해주셨는데요.
그렇다면 이렇게 스마트 산단이 추진된다면, 어떤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계획. 과제는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산업통상자원부 서가람 입지총괄과장과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295회) 클립영상
-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전망과 남북 교류 현안은? 21:05
- 파리 기후변화협정 이행규정 타결 [월드 투데이] 05:41
- 사람 중심 일자리 중심 행복도시 동해 [일자리가 희망이다] 05:02
- 부담은 줄이고 혜택은 늘렸다 난임시술 지원 [돈이 보이는 정책] 02:42
- 문 대통령, 오늘 확대경제장관회의···민생행보 주력 02:13
- 문 대통령, 베트남 스즈키컵 우승에 축하 메시지 00:37
- 동해선 철도 공동조사 완료···오늘 조사단원 귀환 00:26
- 비건 미 특별대표 주중 방한···워킹그룹 2차회의 01:44
- 이낙연 총리, 아프리카 3개국 공식방문 02:01
- 철도 안전점검 의무 대폭 강화···노후시설 정밀진단 의무화 00:41
- 내년 국가유공자 수당 5만원 올리고 가짜독립유공자 걸러낸다 00:39
- 사회서비스원 내년 출범···"양질 일자리 늘린다" 02:45
- 세계 최초 스마트 산단 추진···주요 내용과 기대효과는? 21:17
- 페트병 환불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정책 TALKTALK]] 0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