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2019 금연구역 확대 안내 [똑똑한 정책뉴스]
등록일 : 2019.01.14
미니플레이
임소형 앵커>
새해 달라지는 정책,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먼저 '금연구역'이 새롭게 추가됐습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보육 기관은 실내만 금연구역 이었는데요.
이제 실내 뿐만 아니라 어린이집과 유치원 주변 10m까지 금연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건물 주 변에서 담배를 피우면, 연기가 창문 틈으로 들어가서 간접흡연 피해가 생긴다는 지적에 따라 금연구역이 확대된 겁니다.

그렇다면 어린이집 주변 10m 이내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지자체에서 해당 구역에 금연구역 안내판을 부착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이제 모든 실내 휴게공간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돼 실내에서 흡연이 가능했던 흡연카페 또한 흡연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앞으로 흡연카페 영업자는 해당 시설 전체가 금연구역임을 알리는 표지판을 부착해야 하고 만약 흡연실을 따로 설치할 경우 실내와 완벽히 차단한 뒤 환기시설을 설치하는 등 관련 규정을 지켜야 합니다.
만약 지키지 않을 경우 흡연자에게는 각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두 금연구역 모두 제도 안착을 위해 3월까지 계도기간을 거쳐 4월부터 정식 시행됩니다.
그리고 최근 일반 담배보다 몸에 덜 나쁠 거란 생각에, 전자담배 피우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실제 궐련형 전자담배 판매 비중은 지난해 10.4%로 지난 2017년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금연광고 최초로 전자담배의 중독성을 경고하는 금연광고를 공개했는데요.
이전까지는 흡연이 비흡연자에게 간접흡연을 강요하는 ‘흡연갑질’에 관한 내용이었다면, 새롭게 공개된 금연광고의 주제는 '흡연노예'로 전자담배 또한 담배라는 것을 강조하며 위험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또 담뱃갑 흡연 경고 그림도 새롭게 바뀌었는데요.
일반 담뱃갑은 경고 그림 수위가 더 높아졌고, 궐련형 전자담배에도 암 유발 경고 그림이 부착돼 ‘흡연은 질병’이라는 것을 효과적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우리나라 흡연율은 어떨까요?
성인 흡연율을 살펴보면 2017년까지 꾸준히 감소했는데요.
청소년의 경우 남학생 흡연율은 감소했지만 여학생 흡연율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해를 맞아 금연 계획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사실 금연을 결심해도 혼자의 힘으로 성공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닐텐데요.
금연을 도와주는 지원 프로그램, 어떤 게 있을까요?
먼저 성인을 위한 금연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전국 18개 금연지원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금연캠프가 있는데요, 중`고도 흡연자를 위한 4박 5일 집중금연치료와, 일반 흡연자를 위한 1박 2일 금연 상담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1년에 3회까지 금연치료를 지원해주는데요, 8~12주 병원 금연 프로그램을 통해 금연상담과 금연치료 의약품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있는데요, 금연 클리닉을 통해 금연 보조제 제공은 물론 금연 교육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주변 시선 때문에 금연지원센터를 방문하기 힘든 여성과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도 있는데요, 바로 ‘찾아가는 금연 서비스’입니다.
가까운 금연지원센터에 신청하면 의료진이 직접 찾아가 금연 보조제 제공, 금연 교육 등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활기찬 2019년을 위해 금연계획 함께 세우는 건 어떨까요?
국가지원 금연프로그램에 대해 더 궁금한 사항은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와, 금연 상담전화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연상담전화 (1544-9030)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 (www.nosmokeguide.go.kr_)

지금까지 똑똑한 정책뉴스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