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대포장 여전···'이중·과대' 포장 퇴출
등록일 : 2019.01.16
미니플레이
임소형 앵커>
포장재 사용량이 늘면서 재활용 쓰레기도 늘고 있는데요.
정부가 어제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한 대형 마트의 진열대.
술잔과 유리잔이 포장된 상자 안 불필요한 빈 공간이 눈에 띕니다.
모두 한 번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 포장재들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큽니다.
또 다른 마트에서 판매하는 식재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겹겹이 포장된 비닐 랩과 플라스틱 등 순식간에 포장지들이 쌓입니다.
녹취> 아파트 관리인
"많을때는 이게 하루 30포대씩 나와요. 전체 아파트에..."
이리나 기자 rinami@korea.kr>
온라인 쇼핑이 늘면서 배송물품도 늘고 있는데요.
그만큼 버려지는 포장재 양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불필요한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 이중포장이 법으로 금지됩니다.
'과대포장 방지 대책 발표'
(장소: 정부세종청사)
환경부는 자원재활용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고 과도한 이중포장 금지, 전자제품류 포장규제 대상 추가, 택배 상품의 포장 감량 방안을 담은 과대포장 방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녹취> 이병화 /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
"포장단계부터 제품 맞춤형 적정 포장설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해 포장재 사용을 최소화하고, 택배 포장 시에 포장공간비율의 기준을 적용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제품 판촉을 위한 묶음 상품 등 불필요한 이중포장이 금지되고 충전기와 케이블 이어폰, 헤드셋과 마우스, 블루투스 스피커 등 소형 전자제품 5종에 대해 포장 공간비율 35% 이하가 적용됩니다.
또 선물세트와 종합제품의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 완충재와 고정재 사용제품 기준도 강화합니다.
또 물류시스템에 있어서도 재사용이 가능한 박스 사용과 일명 뽁뽁이로 불리는 비닐 완충재를 종이로 바꿔나갈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노희상 이기환 / 영상편집: 양세형)
환경부는 아울러 오는 2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설 명절 선물세트 과대포장 단속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
KTV 이리나입니다.
포장재 사용량이 늘면서 재활용 쓰레기도 늘고 있는데요.
정부가 어제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내놨습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한 대형 마트의 진열대.
술잔과 유리잔이 포장된 상자 안 불필요한 빈 공간이 눈에 띕니다.
모두 한 번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 포장재들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큽니다.
또 다른 마트에서 판매하는 식재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겹겹이 포장된 비닐 랩과 플라스틱 등 순식간에 포장지들이 쌓입니다.
녹취> 아파트 관리인
"많을때는 이게 하루 30포대씩 나와요. 전체 아파트에..."
이리나 기자 rinami@korea.kr>
온라인 쇼핑이 늘면서 배송물품도 늘고 있는데요.
그만큼 버려지는 포장재 양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불필요한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 이중포장이 법으로 금지됩니다.
'과대포장 방지 대책 발표'
(장소: 정부세종청사)
환경부는 자원재활용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고 과도한 이중포장 금지, 전자제품류 포장규제 대상 추가, 택배 상품의 포장 감량 방안을 담은 과대포장 방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녹취> 이병화 /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
"포장단계부터 제품 맞춤형 적정 포장설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해 포장재 사용을 최소화하고, 택배 포장 시에 포장공간비율의 기준을 적용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제품 판촉을 위한 묶음 상품 등 불필요한 이중포장이 금지되고 충전기와 케이블 이어폰, 헤드셋과 마우스, 블루투스 스피커 등 소형 전자제품 5종에 대해 포장 공간비율 35% 이하가 적용됩니다.
또 선물세트와 종합제품의 과대포장을 줄이기 위해 완충재와 고정재 사용제품 기준도 강화합니다.
또 물류시스템에 있어서도 재사용이 가능한 박스 사용과 일명 뽁뽁이로 불리는 비닐 완충재를 종이로 바꿔나갈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노희상 이기환 / 영상편집: 양세형)
환경부는 아울러 오는 2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설 명절 선물세트 과대포장 단속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139회) 클립영상
- '폼페이오-김영철' 17일 워싱턴DC 회담 전망 01:43
- 체육계 성폭력 '국가대표 관리 실태' 공익감사 청구 02:02
- 데이터·AI산업 활성화···2022년 수소차 보급 8만 대 02:34
- 정부 "브렉시트 진행 상황 주시···필요하면 선제적 조치" 00:42
- 기업인과의 대화···"일자리 창출·투자 앞장서 달라" 02:05
- 이달부터 국민연금 월 5천690원 인상 01:47
- 국민연금, 대한항공 주주권 '적극 행사' 시동 00:28
- 헤나 염색약 관련 정부 합동점검 실시 00:29
- ODA 3.2조···민간 참여 활용방안 논의 02:18
- 과대포장 여전···'이중·과대' 포장 퇴출 02:14
- 셀프 세차장 안전시설 설치·관리 미흡 01:56
- 만 6세 미만 아동수당, 신청 시작 03:20
- "완전한 비핵화·항구적 평화정착 본격화" [오늘의 브리핑] 03:25
- "비리 전담 '스포츠 윤리센터' 설립 추진" [오늘의 브리핑] 0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