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AI산업 활성화···2022년 수소차 보급 8만 대
등록일 : 2019.01.16
미니플레이
임소형 앵커>
정부가 혁신 성장을 이끌 데이터와 인공지능, 수소 경제 등 3대 기반 산업 활성화에 본격 나섭니다.
데이터·AI 융합 인재 만 명을 육성하고, 오는 2022년까지 수소차 8만대를 보급할 계획입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AI개발 기업 방문
(장소: 오늘, 서울 서초구)
AI 개발 기업을 찾은 홍남기 경제부총리.
머리카락를 인식해 가상 염색을 하는 프로그램을 유심히 살펴봅니다.
업체 관계자에게 AI산업에 있어 애로사항은 없는지 묻고 목소리를 듣습니다.
녹취>
"저희가 몇십 배 정부가 노력을 하고 있으니까 아까 말씀하신 대로 정부가 지원하는 거 최대한 활용했으면 좋겠고요."
제1차 혁신성장전략회의
(장소: 서울 양재R&CD센터)
정부는 올해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해 '혁신성장'을 전면에 내세우고 전략적 투자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와 인공지능, 수소 경제 등 3대 기반 산업 활성화 추진 전략을 내놨습니다.
정부는 오는 2023년까지 데이터 시장규모 30조 원 달성을 목표로, AI 유니콘 기업 10개와 데이터·AI 융합인재 만 명 육성에 나섭니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수소차·연료전지 분야를 양대 축으로 전문인력 양성과 글로벌 표준 선점 등을 추진합니다.
특히 수소 활용도 제고를 위해 수소차 보급을 지난해 2천 대 수준에서 22년까지 8만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올해 첫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주재한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혁신성장은 우리 경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녹취> 홍남기 / 경제부총리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창출하는 신산업뿐 아니라, 기존 주력산업이나 서비스산업에서도 혁신을 접목해 더 많은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회의에서는 산업 혁신에 대한 세부 추진 계획도 논의됐습니다.
정부는 자동차와 조선,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등 4대 주력산업에 대한 경쟁력 제고대책을 상반기 안으로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또 고용창출과 부가가치 효과가 큰 관광과 보건, 게임산업 등에 대한 핵심 규제를 개선하고, 스마트 공장과 미래 차 등 8대 신산업 육성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이수오 / 영상편집: 양세형)
한편 정부는 혁신성장 지원 강화를 위해 앞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경제활력대책회의와 혁신성장전략회의로 나눠 운영할 계획입니다.
KTV 홍진우입니다.
정부가 혁신 성장을 이끌 데이터와 인공지능, 수소 경제 등 3대 기반 산업 활성화에 본격 나섭니다.
데이터·AI 융합 인재 만 명을 육성하고, 오는 2022년까지 수소차 8만대를 보급할 계획입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AI개발 기업 방문
(장소: 오늘, 서울 서초구)
AI 개발 기업을 찾은 홍남기 경제부총리.
머리카락를 인식해 가상 염색을 하는 프로그램을 유심히 살펴봅니다.
업체 관계자에게 AI산업에 있어 애로사항은 없는지 묻고 목소리를 듣습니다.
녹취>
"저희가 몇십 배 정부가 노력을 하고 있으니까 아까 말씀하신 대로 정부가 지원하는 거 최대한 활용했으면 좋겠고요."
제1차 혁신성장전략회의
(장소: 서울 양재R&CD센터)
정부는 올해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해 '혁신성장'을 전면에 내세우고 전략적 투자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와 인공지능, 수소 경제 등 3대 기반 산업 활성화 추진 전략을 내놨습니다.
정부는 오는 2023년까지 데이터 시장규모 30조 원 달성을 목표로, AI 유니콘 기업 10개와 데이터·AI 융합인재 만 명 육성에 나섭니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수소차·연료전지 분야를 양대 축으로 전문인력 양성과 글로벌 표준 선점 등을 추진합니다.
특히 수소 활용도 제고를 위해 수소차 보급을 지난해 2천 대 수준에서 22년까지 8만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올해 첫 혁신성장전략회의를 주재한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혁신성장은 우리 경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녹취> 홍남기 / 경제부총리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창출하는 신산업뿐 아니라, 기존 주력산업이나 서비스산업에서도 혁신을 접목해 더 많은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회의에서는 산업 혁신에 대한 세부 추진 계획도 논의됐습니다.
정부는 자동차와 조선,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등 4대 주력산업에 대한 경쟁력 제고대책을 상반기 안으로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또 고용창출과 부가가치 효과가 큰 관광과 보건, 게임산업 등에 대한 핵심 규제를 개선하고, 스마트 공장과 미래 차 등 8대 신산업 육성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이수오 / 영상편집: 양세형)
한편 정부는 혁신성장 지원 강화를 위해 앞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경제활력대책회의와 혁신성장전략회의로 나눠 운영할 계획입니다.
KTV 홍진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139회) 클립영상
- '폼페이오-김영철' 17일 워싱턴DC 회담 전망 01:43
- 체육계 성폭력 '국가대표 관리 실태' 공익감사 청구 02:02
- 데이터·AI산업 활성화···2022년 수소차 보급 8만 대 02:34
- 정부 "브렉시트 진행 상황 주시···필요하면 선제적 조치" 00:42
- 기업인과의 대화···"일자리 창출·투자 앞장서 달라" 02:05
- 이달부터 국민연금 월 5천690원 인상 01:47
- 국민연금, 대한항공 주주권 '적극 행사' 시동 00:28
- 헤나 염색약 관련 정부 합동점검 실시 00:29
- ODA 3.2조···민간 참여 활용방안 논의 02:18
- 과대포장 여전···'이중·과대' 포장 퇴출 02:14
- 셀프 세차장 안전시설 설치·관리 미흡 01:56
- 만 6세 미만 아동수당, 신청 시작 03:20
- "완전한 비핵화·항구적 평화정착 본격화" [오늘의 브리핑] 03:25
- "비리 전담 '스포츠 윤리센터' 설립 추진" [오늘의 브리핑] 0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