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국민 모두가 함께 잘사는 포용사회"···삶의 질 향상 위한 과제는?
등록일 : 2019.02.13
미니플레이
명민준 앵커>
바로 어제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오는 2023년까지 330조원 이상을 투입해 고용과 교육, 소득 분야를 아우르는 보장체계를 구축하고, 국민이 삶의 질 수준을 2040년까지 세계 10위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건데요.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보건복지부 김문식 사회보장총괄과장과 이야기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연: 김문식 /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총괄과장)

명민준 앵커>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이 발표됐습니다.
본격적인 얘기에 앞서 ‘사회보장기본계획’이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이번이 2차 계획인데, 앞서 1차 계획을 통해서는 어떤 성과를 거두셨나요?

명민준 앵커>
그렇다면 이번 발표 내용은 1차 계획과 어떤 점이 달라진 건가요?

명민준 앵커>
이번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의 추진 배경도 짚어주실까요?

명민준 앵커>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은 “국민 모두가 함께 잘사는 포용사회”를 장기비전으로 삼고, 향후 5년간 사회보장제도의 세 가지 기본원칙을 세웠다고 하죠.
우선 모든 국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보장제도의 ‘포용성’ 강화에 나서는데, 정확히 어떤 걸 의미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명민준 앵커>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 돌봄 서비스도 구축됩니다.
기존 돌봄 서비스와는 어떻게 다른 건가요?

명민준 앵커>
이러한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돌봄경제’를 활성화함과 동시에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에 나섭니다.
여기서 ‘돌봄경제’란 무엇이고, 일자리 창출과는 어떻게 연계되는 건가요?

명민준 앵커>
그동안 영역별·대상별로 분절 또는 중복되어 있는 사회보장제도의 연계를 강화해 제도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겠다 했는데, 관련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지금부터 이번 계획의 핵심 과제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고용의 질 개선을 위해서 저임금 근로자 비중을 축소한다고 하는데, 어떻게 축소할 계획인가요?

명민준 앵커>
빈곤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청년층·장년층 등 근로연령층의 소득을 보장하고 노후소득보장체계를 확충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마련됐는데요.
어떤 방안이 마련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또 국민의 건강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고 필수의료를 보장하겠다 밝혔는데, 이와 더불어 어떤 대책들이 추진되나요?

명민준 앵커>
앞서 말씀해 주신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를 완성하기 위한 사회서비스 확대에 나설 계획이시죠.
관련 대책은 무엇인가요?

명민준 앵커>
지금까지 살펴본 대책들을 추진할 기반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사회보장체제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했는데, 이해하기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이번 계획으로 국민들의 ‘삶의 만족도 지수’를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는데요.
‘삶의 만족도 지수’란 무엇이지, 설정된 목표 또한 궁금한데요. 어떻습니까?

명민준 앵커>
이번 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이 잘 추진되기 위해서는 각계각층의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향후 이번 계획을 어떻게 추진해나갈 것인지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지금까지 김문식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총괄과장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