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오픈이노베이션 네트워크 구축···"중기 R&D 지원"
등록일 : 2019.02.27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앞으로 '오픈 이노베이션 네트워크'가 구축됩니다.
기업과 학교, 연구소가 연구 과제를 함께 개발하고 선정하는 것인데요.
이를 통해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이 강화될 전망입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R&D투자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중소벤처기업 R&D지원에만 연간 1조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산학연 혁신역량은 세계 27위에 불과하고, 국내 대학 기술이전도 미국의 5%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별, 대학별로 이뤄지는 폐쇄적인 나홀로 연구개발 관행으로 혁신의 한계점에 부딪힌 실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민간 중심 개방형R&D 생태계 구축을 통한 산학연 혁신 역량 강화에 나섭니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제10차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오픈이노베이션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녹취> 장병규 / 4차산업혁명위원장
"'저희 R&D 지원 자체가 비효율적이다'라는 어떤 비판을 끊임없이 받아왔던 것 같습니다.
정부 주도로 작업하는 것보다는 민·관 그리고 출연연 같은 연구소까지 하는 어떻게 보면 새로운 거버넌스 구조를 만들어 보자...“

우선 AI와 웨어러블 로봇 등 신산업 기술 분야별로 기업과 대학 등이 참여해 지속적으로 교류·협력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듭니다.
또 중소기업 R&D과제 선정을 민간에 이양하고, 선정된 과제에 대해선 정부가 투자와 판로, 해외 진출 등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범정부 오픈이노베이션 지원TF도 구성합니다.
4차산업혁명위는 정보보호 R&D와 게임콘텐츠 진흥 중장기 계획도 확정했습니다.
정보보호는 4차산업혁명 핵심 기반 기술로 오는 2026년까지 신기술 개발 유도, 정보보호 전문연구실 확대 등을 추진해 세계 최고수준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게임산업은 일자리 창출과 세계 시장 성장률이 높은 미래 지향적인 산업으로 보고 적극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장병규 / 4차산업혁명위원장
“글로벌 시장에서 게임산업 성장률이 지난 5년, 10년을 보더라도 여전히 두자릿수입니다. 전 세계 GDP 성장률을 보면 2% 전후라고 봐야 하는데 게임산업은 10% 이상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이와 함께 오는 2021년 주민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는 세종·부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시행계획과 국가일자리정보플랫폼 구축현황을 점검하고 차질없는 추진을 당부했습니다.
(영상취재: 김명신 / 영상편집: 양세형)

KTV 홍진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