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제 도입 엄격히···버스요금 인상 불가피"
등록일 : 2019.05.15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노선버스 노조가 파업을 예고한 오늘, 모든 지역에서 파업이 철회되거나 유보됐는데요.
김현미 장관은 버스 요금 인상은 안전한 버스를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고, 준 공영제 도입은 엄격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우려했던 출근길 교통 대란은 없었습니다.
대구와 인천, 광주, 전남이 잇따라 파업을 철회한 데 이어 막판까지 진통을 겪던 서울과 부산, 울산도 협상 타결 소식을 전했습니다.
경기도와 충북, 충남, 강원, 대전은 일단 파업을 유보하고, 협상을 이어나가기로 했습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민 담화문을 통해 먼저 국민 불편을 우려해 한발씩 양보해준 버스노조와 업계 관계자에 감사를 전했습니다.
김 장관은 이와 함께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으로 인한 막대한 재원 소요 우려에 대해 엄격한 관리 아래 공공성을 확보하고, 재정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설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버스 노선의 축소 또는 감차 없이 주52시간제 도입을 위해서는 버스 노동자의 추가 고용과 재원이 필요하고, 버스의 안전과 서비스 향상을 위해 버스 요금의 일부 인상은 피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경기도에 이어 충남·북과 세종, 경남도 올해 안에 요금 인상을 논의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버스 공공성 강화와 운전 인력 양성을 위해 버스 공영차고지와 벽지노선 등을 정부 보조금 지원 대상으로 하고, 일자리 함께하기 사업 지원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영상편집: 양세형)
아울러 내년 1월 주52시간제 도입을 앞둔 30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대책을 면밀하게 마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KTV 홍진우입니다.
노선버스 노조가 파업을 예고한 오늘, 모든 지역에서 파업이 철회되거나 유보됐는데요.
김현미 장관은 버스 요금 인상은 안전한 버스를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고, 준 공영제 도입은 엄격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우려했던 출근길 교통 대란은 없었습니다.
대구와 인천, 광주, 전남이 잇따라 파업을 철회한 데 이어 막판까지 진통을 겪던 서울과 부산, 울산도 협상 타결 소식을 전했습니다.
경기도와 충북, 충남, 강원, 대전은 일단 파업을 유보하고, 협상을 이어나가기로 했습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민 담화문을 통해 먼저 국민 불편을 우려해 한발씩 양보해준 버스노조와 업계 관계자에 감사를 전했습니다.
김 장관은 이와 함께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으로 인한 막대한 재원 소요 우려에 대해 엄격한 관리 아래 공공성을 확보하고, 재정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설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버스 노선의 축소 또는 감차 없이 주52시간제 도입을 위해서는 버스 노동자의 추가 고용과 재원이 필요하고, 버스의 안전과 서비스 향상을 위해 버스 요금의 일부 인상은 피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경기도에 이어 충남·북과 세종, 경남도 올해 안에 요금 인상을 논의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버스 공공성 강화와 운전 인력 양성을 위해 버스 공영차고지와 벽지노선 등을 정부 보조금 지원 대상으로 하고, 일자리 함께하기 사업 지원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영상편집: 양세형)
아울러 내년 1월 주52시간제 도입을 앞둔 30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대책을 면밀하게 마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KTV 홍진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216회) 클립영상
- "준공영제 도입 엄격히···버스요금 인상 불가피" 01:51
- 홍 부총리 "민간 일자리 중심 경제활력 제고 강화" 02:03
- 중소기업인대회 참석 "현장 체감 성과 창출" 02:05
- "대북 식량지원, 민관 협력 방안 찾아야" 02:12
- 오는 27일 첫 '을지태극연습'···준비회의 진행 01:37
- 20년 전 여왕 발자취 따라···영국 앤드루 왕자 안동 방문 02:48
- 재난방송 요청 일원화···주관방송사 책임 강화 01:59
- 국민 건강권 보장 2년···체감 만족도↑ [현장in] 03:57
- 우리나라 청소년 16%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03:23
- 공공부문 비정규직→정규직 전환···"연봉 390만원 늘어" 00:35
- 지난해 불법 주정차 연계사고로 7천6백여 명 사상 00:35
- "응급개입팀 설치···정신질환자 24시간 대응" [오늘의 브리핑] 02:56
- "추경안 5월 내 처리 간곡히 요청" [오늘의 브리핑] 0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