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여름···폭염 전망과 대응과제는?
등록일 : 2019.06.04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지난달부터 때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올여름도 역대급 무더위가 예상됩니다.
다만 사상 최악의 더위였던 지난해보다는 덜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올여름 폭염 전망과 함께 대응책을 알아봅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채여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출연: 채여라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임보라 앵커>
어제 대구, 영남 지역은에 폭염주의보가 발효됐습니다. 벌써부터 올 여름 더위가 걱정되는 상황인데요. 올해도 이상고온의 영향이 예상되나요?
임보라 앵커>
지난해 폭염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당시 피해 상황은 어땠습니까?
임보라 앵커>
농작물 등 경제적 손실도 컸던 것 같은데요. 이 부분은 어땠습니까?
임보라 앵커>
이렇게 막심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폭염을 자연재난으로 개정했는데요.
이번에는 지난해와 다른 대처가 가능해진 건가요?
임보라 앵커>
특히 올해 폭염 시 옥외 작업자 등의 보호가 가능해졌다고 하는데, 관련 내용도 짚어주시겠습니까?
임보라 앵커>
올해 폭염특보 역시 기존에 더해 '영향예보'까지 포함한 정보가 제공될 예정인데요, 개선 내용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폭염경보나 폭염특보가 발령되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국민행동요령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한편, 오뉴월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 건지 궁금한데요, 지구가 어떤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이상고온 현상이 미칠 사회경제적 여파는 어떻게 예상해 볼 수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특히 폭염이 노인질환 악화나 사망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할 것 같은데요, 취약계층에 대한 대비 필요성과 과제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폭염환자는 고령층이 많은 농어촌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역별 폭염 대책이라든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폭염대책이 세워져야할 것 같은데요?
임보라 앵커>
관련해서 해외의 맞춤형 폭염대책, 에너지 대책에 대해 참고할 만한 사례는 없을까요?
임보라 앵커>
기후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역시 필요할 것 같은데요. 관련 과제는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그야말로 ‘기후와의 전쟁’이 시작된 것 같습니다. 올여름 폭염 관련 당부 말씀과 과제로 마무리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채여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지난달부터 때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올여름도 역대급 무더위가 예상됩니다.
다만 사상 최악의 더위였던 지난해보다는 덜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올여름 폭염 전망과 함께 대응책을 알아봅니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채여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출연: 채여라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임보라 앵커>
어제 대구, 영남 지역은에 폭염주의보가 발효됐습니다. 벌써부터 올 여름 더위가 걱정되는 상황인데요. 올해도 이상고온의 영향이 예상되나요?
임보라 앵커>
지난해 폭염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당시 피해 상황은 어땠습니까?
임보라 앵커>
농작물 등 경제적 손실도 컸던 것 같은데요. 이 부분은 어땠습니까?
임보라 앵커>
이렇게 막심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폭염을 자연재난으로 개정했는데요.
이번에는 지난해와 다른 대처가 가능해진 건가요?
임보라 앵커>
특히 올해 폭염 시 옥외 작업자 등의 보호가 가능해졌다고 하는데, 관련 내용도 짚어주시겠습니까?
임보라 앵커>
올해 폭염특보 역시 기존에 더해 '영향예보'까지 포함한 정보가 제공될 예정인데요, 개선 내용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폭염경보나 폭염특보가 발령되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국민행동요령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요?
임보라 앵커>
한편, 오뉴월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 건지 궁금한데요, 지구가 어떤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건가요?
임보라 앵커>
이상고온 현상이 미칠 사회경제적 여파는 어떻게 예상해 볼 수 있을까요?
임보라 앵커>
특히 폭염이 노인질환 악화나 사망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할 것 같은데요, 취약계층에 대한 대비 필요성과 과제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폭염환자는 고령층이 많은 농어촌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역별 폭염 대책이라든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폭염대책이 세워져야할 것 같은데요?
임보라 앵커>
관련해서 해외의 맞춤형 폭염대책, 에너지 대책에 대해 참고할 만한 사례는 없을까요?
임보라 앵커>
기후변화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역시 필요할 것 같은데요. 관련 과제는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그야말로 ‘기후와의 전쟁’이 시작된 것 같습니다. 올여름 폭염 관련 당부 말씀과 과제로 마무리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채여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406회) 클립영상
- 스포츠혁신위원회 2차 권고안 발표 20:51
- 2019년 여름···폭염 전망과 대응과제는? 15:45
- 다뉴브강서 한국인 시신 2구 수습 [월드 투데이] 06:19
- 두경부 질환 환자들을 위한 지원 혜택 [정책톡! 돈이툭!] 02:24
- 다뉴브강 60대 남성 시신 '한국인 실종자' 확인 01:37
- "순방 전 국회 정상화 기대···헝가리 사고 깊은 애도" 02:28
- 문 대통령, 오늘 국가유공자·보훈가족 초청 오찬 00:25
- "미래연합사령관에 한국군 대장···연합사 이전 결정" 02:29
- 노동친화형 스마트공장 확산···노사정 힘 모은다 02:33
- 시간강사제도 안착 방안 발표 07:38
- 전 국민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해 우리나라 건강관리 사업 수준 높인다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