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실업부조 도입···폐업 자영업자도 월 50만 원
등록일 : 2019.06.05
미니플레이
임소형 앵커>
정부와 여당이 한국형 실업부조인 국민취업 지원제도 도입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아 실업 급여를 받지 못한 자영업자와 임시직, 특수고용자들도 실업 상태에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가게 문을 닫게 된 자영업자나 실업 상태가 된 특수고용 노동자들은 일반 노동자와 달리 당장 생계를 걱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다 보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전체 취업자의 45%인 1천200만 명 정도가 고용안전망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상황.
제11차 일자리위원회·당정협의
(장소: 어제, 서울고용노동청)
당정이 취업취약계층 누구나 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한국형 실업부조,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일자리위원회 의결과 함께 내년 7월까지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녹취> 이목희 /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일자리 안전망 사각지대를 획기적으로 축소·해소하고, 취약계층의 조속한 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고용서비스 확충을 통해 더 촘촘한 일자리 안정망을 완성해 가야할 것입니다."
특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자영업자와 특수고용, 임시직 노동자 등도 일종의 실업 급여처럼 매달 50만 원씩 최장 6개월까지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저소득층입니다.
올해 기준으로 2인 가구는 월 소득 145만 원 이하, 4인 가구는 230만 원보다 적어야 합니다.
당정은 이후 단계적으로 소득기준을 중위소득의 60% 이하로 완화해 2022년에는 60만 명이 더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또 기존 취업지원제도인 취업성공패키지와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국민취업지원제도로 통합시키기로 했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정착되면 근로빈곤층 취업률 16.6%p 증가와 빈곤가구 인원이 36만 명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녹취> 이재갑 / 고용노동부 장관
"한국형 실업부조 도입은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입니다. 고용보험 시행 이후에 20여년 만에 큰틀에서 고용안전망 제도를 완성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민경철 김명신 / 영상편집: 양세형)
당정은 이와 함께 종합 고용서비스 수준 향상과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공공고용서비스 발전 방안도 확정했습니다.
KTV 홍진우입니다.
정부와 여당이 한국형 실업부조인 국민취업 지원제도 도입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아 실업 급여를 받지 못한 자영업자와 임시직, 특수고용자들도 실업 상태에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가게 문을 닫게 된 자영업자나 실업 상태가 된 특수고용 노동자들은 일반 노동자와 달리 당장 생계를 걱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다 보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전체 취업자의 45%인 1천200만 명 정도가 고용안전망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상황.
제11차 일자리위원회·당정협의
(장소: 어제, 서울고용노동청)
당정이 취업취약계층 누구나 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한국형 실업부조,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일자리위원회 의결과 함께 내년 7월까지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녹취> 이목희 /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일자리 안전망 사각지대를 획기적으로 축소·해소하고, 취약계층의 조속한 취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고용서비스 확충을 통해 더 촘촘한 일자리 안정망을 완성해 가야할 것입니다."
특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자영업자와 특수고용, 임시직 노동자 등도 일종의 실업 급여처럼 매달 50만 원씩 최장 6개월까지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저소득층입니다.
올해 기준으로 2인 가구는 월 소득 145만 원 이하, 4인 가구는 230만 원보다 적어야 합니다.
당정은 이후 단계적으로 소득기준을 중위소득의 60% 이하로 완화해 2022년에는 60만 명이 더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또 기존 취업지원제도인 취업성공패키지와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국민취업지원제도로 통합시키기로 했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정착되면 근로빈곤층 취업률 16.6%p 증가와 빈곤가구 인원이 36만 명 정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녹취> 이재갑 / 고용노동부 장관
"한국형 실업부조 도입은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입니다. 고용보험 시행 이후에 20여년 만에 큰틀에서 고용안전망 제도를 완성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민경철 김명신 / 영상편집: 양세형)
당정은 이와 함께 종합 고용서비스 수준 향상과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공공고용서비스 발전 방안도 확정했습니다.
KTV 홍진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230회) 클립영상
- 밤사이 시신 3구 추가 수습···수색 계속 01:45
- "돼지열병 대응태세 최고 수준···상습체납자 척결" 02:12
- '오세훈 결승골' 일본 꺾고 6년 만에 8강 진출 00:34
- 문 대통령, 모디 인도 총리와 통화···"총선 승리 축하" 00:35
- 한국형 실업부조 도입···폐업 자영업자도 월 50만 원 02:34
- 이 총리 "노동자 고통 잘 알지만 폭력 정당화 안돼" 01:44
- '강사법' 개정···강사 감축 대학에 재정지원 '불이익' 02:15
- 2040년 재생에너지 비중 최대 35%···기본계획 확정 02:02
- 50여 년 만에 주세 체계 종량세 전환 02:15
- "학생선수 학습권 보장···주중 대회 개최 금지" 02:29
- 한미 '北돼지열병 방역협력·식량지원' 논의 00:29
- 10살 더 어려지고 싶다면? '아기얼굴 앱' 화제 [S&News] 03:56
- "접경지역 비롯 전국 멧돼지 개체 수 최소화" [오늘의 브리핑] 02:17
- "인보사 투여환자 15년간 장기추적조사" [오늘의 브리핑] 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