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놀이사고'를 막아라···"깊은 곳 피하고 준비운동" [현장in]
등록일 : 2019.06.28
미니플레이
임소형 앵커>
여름철에는 더위를 피해 계곡이나 강가, 해수욕장을 찾는 분들 많은데요.
이때 안전사고 발생도 늘어나는 만큼 안전수칙을 지키면서 물놀이를 즐기는 게 중요한데요.
곽동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곽동화 기자>
(영상제공: 119 여의도 수난구조대)
여의도 한강공원.
한 여성이 누운 채로 물에 떠 있습니다.
전날 밤 술을 마신 후 물에 들어갔다 나오지 못하고 떠내려온 겁니다.
다행히 목숨에는 지장이 없었습니다.
곽동화 기자 fairytale@korea.kr>
"수심이 얕아 보이지만 물이 꽤 깊습니다. 매년 여름이면 물가에 놀러 온 사람들이 음주하고 물에 들어가거나 발을 헛디뎌 물에 빠지는 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달 평균 400건의 물놀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7~8월에는 평균 1천3백 건 정도로 사고 발생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인터뷰> 임은주 / 서울 동작구
"넘어지는 건 봤어요. (물가에서) 술 드시고 비틀거리면서 넘어지고 할 때는 옆에 누가 없으면 참 위험해 보이더라고요."
인터뷰> 신송임 / 서울 양천구
"전 수영을 못해서 정말 무서워요, 물이."
곽동화 기자 fairytale@korea.kr>
"여름철에 본격적으로 바빠지는 119 수난구조대입니다. 전국 11곳에서 24시간 3교대로 근무하며 국민의 안전을 지킵니다."
수상스포츠나 물놀이의 안전관리와 사고가 발생했을 때 구조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여의도 구조대의 하루 평균 출동건수는 세 번이지만 여름에는 2배로 늘어납니다.
정부는 여름철 부족한 안전인력 보강을 위해 올해 약 7천 명의 119 시민수상구조대를 편성, 운영합니다.
이들은 전국 289개 물놀이 지역에 파견됩니다.
강, 계곡,해수욕장 등 물놀이 지역에서 안전점검도 실시합니다.
해운대, 대천 등 전국 해수욕장 7곳의 실시간 이안류 감시 정보를 온라인 홈페이지와 문자를 통해 전달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TV, 영화관, SNS 등 다양한 채널로 물놀이 사고예방 홍보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물놀이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스스로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게 중요합니다.
강이나 계곡, 바다의 경우 수온이 낮기 때문에 들어가기 전에 준비운동을 충분히 해야 합니다.
인터뷰> 임용석 / 119 여의도 수난구조대원
"물을 바로 봤을 때 투명하지 않고 갑자기 검은 부분이 보인다거나 이런 부분은 정말 깊은 부분이거든요. 물놀이를 할 때는 두 명 이상이 함께하는 게 가장 좋은 거 같습니다."
(영상취재: 김윤상 이수오 / 영상편집: 양세형)
또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안전장비를 미리 갖춰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장인 곽동화입니다.
여름철에는 더위를 피해 계곡이나 강가, 해수욕장을 찾는 분들 많은데요.
이때 안전사고 발생도 늘어나는 만큼 안전수칙을 지키면서 물놀이를 즐기는 게 중요한데요.
곽동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곽동화 기자>
(영상제공: 119 여의도 수난구조대)
여의도 한강공원.
한 여성이 누운 채로 물에 떠 있습니다.
전날 밤 술을 마신 후 물에 들어갔다 나오지 못하고 떠내려온 겁니다.
다행히 목숨에는 지장이 없었습니다.
곽동화 기자 fairytale@korea.kr>
"수심이 얕아 보이지만 물이 꽤 깊습니다. 매년 여름이면 물가에 놀러 온 사람들이 음주하고 물에 들어가거나 발을 헛디뎌 물에 빠지는 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달 평균 400건의 물놀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7~8월에는 평균 1천3백 건 정도로 사고 발생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인터뷰> 임은주 / 서울 동작구
"넘어지는 건 봤어요. (물가에서) 술 드시고 비틀거리면서 넘어지고 할 때는 옆에 누가 없으면 참 위험해 보이더라고요."
인터뷰> 신송임 / 서울 양천구
"전 수영을 못해서 정말 무서워요, 물이."
곽동화 기자 fairytale@korea.kr>
"여름철에 본격적으로 바빠지는 119 수난구조대입니다. 전국 11곳에서 24시간 3교대로 근무하며 국민의 안전을 지킵니다."
수상스포츠나 물놀이의 안전관리와 사고가 발생했을 때 구조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여의도 구조대의 하루 평균 출동건수는 세 번이지만 여름에는 2배로 늘어납니다.
정부는 여름철 부족한 안전인력 보강을 위해 올해 약 7천 명의 119 시민수상구조대를 편성, 운영합니다.
이들은 전국 289개 물놀이 지역에 파견됩니다.
강, 계곡,해수욕장 등 물놀이 지역에서 안전점검도 실시합니다.
해운대, 대천 등 전국 해수욕장 7곳의 실시간 이안류 감시 정보를 온라인 홈페이지와 문자를 통해 전달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TV, 영화관, SNS 등 다양한 채널로 물놀이 사고예방 홍보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물놀이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스스로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게 중요합니다.
강이나 계곡, 바다의 경우 수온이 낮기 때문에 들어가기 전에 준비운동을 충분히 해야 합니다.
인터뷰> 임용석 / 119 여의도 수난구조대원
"물을 바로 봤을 때 투명하지 않고 갑자기 검은 부분이 보인다거나 이런 부분은 정말 깊은 부분이거든요. 물놀이를 할 때는 두 명 이상이 함께하는 게 가장 좋은 거 같습니다."
(영상취재: 김윤상 이수오 / 영상편집: 양세형)
또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안전장비를 미리 갖춰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장인 곽동화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중심 (246회) 클립영상
- G20 정상회의 개막···오늘 밤 한러 정상회담 01:53
- 이도훈-비건 '한미정상회담 대북 의제 조율' 00:33
-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 들어야 교원자격 취득 02:31
- "국민 고통 더 커지길 바라는 세력 없을 것" 02:00
- 10년 뒤 총인구 감소···2047년 고령인구 38% 넘어 02:20
- '운전·운송·사무직 등' 인력 충원···25만 명 뽑는다 01:54
- 인공지능으로 지하철역 미세먼지 잡는다 01:51
- 해수부, 보호대상해양생물→해양보호생물로 명칭 변경 00:32
- 수족구병 환자 급증···0~6세 영유아 집중 00:34
- '물놀이사고'를 막아라···"깊은 곳 피하고 준비운동" [현장in] 02:43
- 탈모 제품 허위·과대광고 2천248건 적발 02:55
- B급 유머 장착 '공무원 유튜버' 인기 [S&News] 03:30
- "포용국가 사회정책 원활히 추진되도록 준비" [오늘의 브리핑] 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