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2년···18만 5천 명 전환 결정
등록일 : 2019.07.30
미니플레이
유용화 앵커>
정부가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을 추진한지 2년이 됐는데요.
18만 5천 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됐고, 이에 따라 전환자들의 처우개선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앵커>
기상청 사내 게시판에 마련된 '비정규직 정규직화 Q&A 코너'입니다.
기상청은 이곳에 정규직 심의위원회 회의 내용을 올려 공유하는 등 소통에 힘썼고 비정규직 343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됐습니다.
뿐만 아니라 청소 경비 근로자 정년은 65세로 연장됐고 이후 건강검진을 받아 서류를 제출하면 68세까지 근무할 수 있게 됐습니다.
특히 여성 비율이 크게 늘면서, 육아휴직 기간이 1년에서 3년으로 늘었습니다.
정부가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을 추진한 지 2년.
그간의 성과가 공개됐습니다.
18만 5천 명 가량의 정규직 전환이 결정됐고 이들 가운데 15만 7천 명의 전환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인원도 순차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고용안정과 함께 전환자들의 처우개선이 이뤄졌습니다.
식비, 명절상여금 등 복리후생비를 통해 월 20만 원 가량의 임금 인상효과가 있었습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정현정)
정부는 비정규직채용 사전심사제를 마련하는 등 정규직 고용 관행을 확립하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지훈 / 고용노동부 공공부문정규직화추진단 사무관
"전환된 근로자들이 각 조직에 원활하게 적응하고 또 인사관리가 체계적으로 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역할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중략) 공공부문에서 그치지 않고 민간부문으로 좀 더 확산될 수 있도록 저희가 계속적으로...“

정부는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이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노사 간 대화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입니다.

KTV 임소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