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석탄재 안전검사 강화···첫 전수조사
등록일 : 2019.09.03
미니플레이
유용화 앵커>
일본에서 들어오는 수입 석탄재에 대한 첫 전수조사가 오늘 실시됐습니다.
방사능과 중금속에 대한 안전검사가 한층 강화됐는데요, 임하경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임하경 기자>
석탄재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태우고 남은 재를 말합니다.
폐기물로 분류되지만 시멘트 원료로 사용될 수 있어 우리나라는 매년 천톤이 넘게 수입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수입 현황을 보면 총 폐기물은 연간 2천 톤 이상으로 그 중 석탄재가 매년 절반을 차지합니다.
수입 석탄재는 대부분은 일본에서 들어옵니다.
석탄재로 인한 방사능과 중금속 오염 우려가 계속되는 이유입니다.
최근 석탄재에 대한 검사강화 조치 방침을 밝힌 정부가 본격적인 실행에 들어갔습니다.
환경부는 강원도 동해항으로 일본에서 들여온 석탄재에 대해 방사능과 중금속 오염 여부를 전수조사했습니다.
일본에서 들어온 4천 톤의 석탄재를 실은 배입니다.
이곳에서 방사능과 중금속 검사를 위한 샘플 채취가 이뤄집니다.
먼저, 시료채취봉으로 석탄재에서 1kg씩 두 봉지의 샘플을 추출합니다.
이렇게 얻은 샘플 중 한 봉지는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보내지며, 방사능 물질인 세슘과 요오드의 농도는 기준치 이하여야 허가됩니다.
다른 하나는 원주지방환경청으로 보내져 중금속 성분 분석이 이뤄지며, 함유량이 재활용 기준에 맞아야 합니다.
녹취> 김효영 / 원주지방환경청 환경관리과장
“중금속 분석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고, 방사능 검사는 시료를 이송하는 시간까지 합쳐서 열흘 정도가 소요됩니다.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수입 석탄재는 항구 내의 세관에서 허락한 곳에 (보관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수입하는 모든 석탄재에 대한 전수조사를 이어나가는 한편, 폐배터리, 폐타이어 등 수입 폐기물에 대한 검사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이수오 / 영상편집: 정현정)
정부는 시멘트 업계, 발전사와 협의체를 구성해 국내에서 매립돼 재활용되지 않고 있는 석탄재를 활용하는 한편, 석탄재를 대체할 소재 발굴에도 힘쓸 계획입니다.
KTV 임하경입니다.
일본에서 들어오는 수입 석탄재에 대한 첫 전수조사가 오늘 실시됐습니다.
방사능과 중금속에 대한 안전검사가 한층 강화됐는데요, 임하경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임하경 기자>
석탄재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태우고 남은 재를 말합니다.
폐기물로 분류되지만 시멘트 원료로 사용될 수 있어 우리나라는 매년 천톤이 넘게 수입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수입 현황을 보면 총 폐기물은 연간 2천 톤 이상으로 그 중 석탄재가 매년 절반을 차지합니다.
수입 석탄재는 대부분은 일본에서 들어옵니다.
석탄재로 인한 방사능과 중금속 오염 우려가 계속되는 이유입니다.
최근 석탄재에 대한 검사강화 조치 방침을 밝힌 정부가 본격적인 실행에 들어갔습니다.
환경부는 강원도 동해항으로 일본에서 들여온 석탄재에 대해 방사능과 중금속 오염 여부를 전수조사했습니다.
일본에서 들어온 4천 톤의 석탄재를 실은 배입니다.
이곳에서 방사능과 중금속 검사를 위한 샘플 채취가 이뤄집니다.
먼저, 시료채취봉으로 석탄재에서 1kg씩 두 봉지의 샘플을 추출합니다.
이렇게 얻은 샘플 중 한 봉지는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보내지며, 방사능 물질인 세슘과 요오드의 농도는 기준치 이하여야 허가됩니다.
다른 하나는 원주지방환경청으로 보내져 중금속 성분 분석이 이뤄지며, 함유량이 재활용 기준에 맞아야 합니다.
녹취> 김효영 / 원주지방환경청 환경관리과장
“중금속 분석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고, 방사능 검사는 시료를 이송하는 시간까지 합쳐서 열흘 정도가 소요됩니다.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수입 석탄재는 항구 내의 세관에서 허락한 곳에 (보관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수입하는 모든 석탄재에 대한 전수조사를 이어나가는 한편, 폐배터리, 폐타이어 등 수입 폐기물에 대한 검사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이수오 / 영상편집: 정현정)
정부는 시멘트 업계, 발전사와 협의체를 구성해 국내에서 매립돼 재활용되지 않고 있는 석탄재를 활용하는 한편, 석탄재를 대체할 소재 발굴에도 힘쓸 계획입니다.
KTV 임하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301회) 클립영상
- 한·태국 정상회담···"피로 맺어진 신뢰·우의" 02:21
- 비즈니스 포럼···"기술력 결합하면 큰 시너지" 02:35
- '브랜드 K' 출범···"한류 경제공동체 첫 단추" 01:45
- '한국어'에 빠진 태국인들···"양국 가교 역할" 01:27
- 靑 "조국 후보자 기자회견, 불가피한 선택" 00:32
- 일본산 석탄재 안전검사 강화···첫 전수조사 02:15
- 귀성길 은행 이동점포···중소기업 '특별자금' 지원 02:03
- 추석 농산물 식별법 제공···"원산지 확인하세요" 02:23
- 미중 무역분쟁···통상환경 대응 점검회의 00:32
-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80대 사망 00:27
- 태풍 '링링' 발생···주말 한국 영향 가능성 00:23
- 폐기물 처리 기술 첨단화···기술 경쟁 치열 [현장in] 03:45
- 내년 복지부 예산 82조 8천억 원···취약계층 지원 02:08
- 고령화 속도 세계 최고···2067년 인구 절반이 노인 02:00
- 교육부 "대입제도 개편 논의 4일 이후 진행" 00:43
- 2022학년도 전문대 입시전형 단순화 00:36
- 창신대·예원예대 국가장학금·학자금대출 제한 00:27
- 亞 최대 인권회의 'APF 콘퍼런스' 5일 개최 00:31
- 근로·자녀장려금 5조 원···이번 주 지급 02:44
- 임신지원 원스톱 서비스 제공 [오감만족] 07:56
- 관광과 환경보호를 한 번에···'쓰레기낚시 투어' [S&News] 03:52
- 주한미군기지 반환 [유용화의 오늘의 눈] 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