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한-중미 FTA 내일부터 발효
등록일 : 2019.10.01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우리나라와 중앙 아메리카 5개 나라 간 자유무역협정이 내일부터 발효됩니다.
중남미 시장으로 본격적인 교역 확대가 기대됩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한-중미 FTA는 우리나라가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파나마, 온두라스 등 중앙아메리카 5개 나라와 체결한 자유무역협정입니다.
우리나라가 체결한 16번째 FTA로, 한국과 중미 5개국은 전체 95% 이상 품목의 관세를 즉시 또는 단계적으로 철폐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이번 발효일(1일)에는 국내 비준절차를 완료한 후 통보를 마친 우리나라와 니카라과, 온두라스 간 협정이 우선 발효됩니다.
나머지 세 나라인 코스타리카와 엘살바도르, 파나마도, 국내 절차가 완료됐음을 우리나라에 통보하면, 조항에 따라 협정이 발효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최근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일본의 일방적 수출규제로 글로벌 무역환경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이번 한-중미 FTA가 중남미 수출시장 다변화와 교역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자동차나 철강 등 주력 수출품목뿐 아니라 화장품이나 의약품 같은 중소기업 제품 수출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화인터뷰> 오충종 / 산업통상자원부 FTA협상총괄과장
"한-중미 FTA 체결로 중미 정부조달 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이 FTA를 활용한 우리 기업들의 에너지·인프라·건설 분야 중미 지역 주요 프로젝트 참여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한-중미 FTA를 활용한 중남미 시장 진출을 원하는 기업은 FTA 콜센터와 종합지원센터, 전국 지원기관을 통해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FTA 콜센터 : 국번 없이 1380
▶ FTA 종합지원센터 : okfta.kita.net

(영상편집: 최아람)

협정문 상세내용과 각 품목에 대한 관세율, 원산지 기준은 산업통상자원부 FTA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