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태풍이 예년에 비해 더 자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면서 태풍 예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제주도에 국가태풍센터가 있는데요, 곽동화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곽동화 기자>
(성판악 자동기상관측시설(AWS) 센터 / 제주시)
지난 태풍 '미탁' 때 기록적인 강수량을 보인 제주 성판악.
이곳은 해발 760m로 지형적 특성 때문에 안개와 구름이 늘 많습니다.
산을 넘지 못한 구름이 많은 비를 뿌리기 때문입니다.
세 번이나 태풍이 몰아친 9월 한 달간 성판악에는 1천297.5㎜의 비가 왔습니다.
(새별오름 자동기상관측시설(AWS) 센터 / 제주시)
초속 12m의 바람이 불어오는 이곳은 '새별오름'입니다.
원래도 바람이 많은 지역인데다, 태풍이 오면 바람 피해가 더 큽니다.
곽동화 기자 fairytale@korea.kr>
"보시는 것처럼 바람이 매우 강합니다. 지난 18호 태풍 미탁 당시 최대 순간풍속은 초속 27m, 이곳은 초속 23m에 달했습니다."
높이 10m의 자동기상관측시설(AWS)은 제주 37곳에 설치돼 있습니다.
인터뷰> 양진호 / 제주기상청 관측과 주임
"(AWS는) 기상 재해 예방을 위해 자동 기상 관측하는 장비로, 강수량, 기온 등 새별오름 지역의 기상, 자연 현상을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바람, 기온, 습도, 강수량 등 많은 기상 정보를 기상청으로 보내주는데, 올해 7번의 태풍에도 쓰러지지 않고 제 역할을 해냈습니다.
(국가태풍센터 / 서귀포시)
제주도 서귀포에 위치한 국가태풍센터.
올해는 예보관들에게도 이례적인 한 해였습니다.
국가 태풍 센터는 2008년 문을 열어 현재 14명의 직원이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24시간 철통 감시합니다.
기상 현황, 천리안 2A 관측 자료 등 기상 상황을 감시하고 분석하는 화면이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이렇게 취합한 분석자료로 하루 4번 태풍 정보를 생산합니다.
국가태풍센터는 지난 2011년부터 태풍 5일 예보를 정식 운영해왔고, 올해 355회의 태풍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또 태풍 '어벤저스'인 '태풍특별대응반'을 시작했습니다.
곽동화 기자 fairytale@korea.kr>
"올해 처음 시작된 건데요. 제13호 태풍 '링링'부터 태풍 비상 1단계가 발령될 때마다 이곳 국가 태풍 센터에 기상 인력이 합동 근무를 실시했습니다."
대응반은 천리안 위성 등을 활용해 감시 관측망을 더 촘촘하게 구축했습니다.
그 결과 미국과 일본 등 태풍 예보 선진국의 진로 예측 오차인 206km를 한참 앞지른 184km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정종운 / 국가태풍센터장
"분야의 전문가들이 내려왔기 때문에 옛날보다 훨씬 더 예보관들이 예보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태풍 예보관이 생각한 오차를 충분히 줄일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려움도 있습니다.
현장 담당자들은 보다 빠르고 정확한 서비를 위해 예산과 전문인력 확충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태풍의 강도는 더 세지고 더 자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이기환 / 영상편집: 김종석)
이 때문에 태풍에 대한 감시와 예보의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TV 곽동화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497회) 클립영상
- "예보 오차를 줄여라"···국가태풍센터를 가다 03:21
- 9월 취업자 34만 8천 명 증가···"고용률 23년만 최고" 02:09
- "고용 개선 흐름 뚜렷···대내외 불확실 상존" 01:30
-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역대 최저' 01:43
- 여탕 남아 출입 만 5세→만 4세로···이유는? [S&News] 03:56
- 영화가 있는 삶·내일이 있는 한국영화···한국영화산업 발전계획 주요 내용은? 20:32
- '홍콩 인권법' 미국 하원 통과 [월드 투데이] 05:18
- 경기 연천 ASF 의심사례 '음성' 판정 01:54
- 문 대통령, 오늘 경제장관회의 직접 주재 00:24
- 日 신문 "이낙연-아베 총리회담 24일로 조율" 00:25
- '평양 원정' 마친 축구대표팀 귀국 00:26
- 검찰에 대한 '감찰 내실화' 방안 지시 02:05
- '함께하는 미래' 한-아세안 열차···순천·광주 이동 01:50
- '대·중기 상생협' 출범···소재·부품 상생모델 발굴 02:01
- 한-인니 CEPA '실질 타결'···신남방 FTA 본격화 02:20
- WTO 개발도상국 지위 결정 시한 임박 전망과 우리 정부 과제는? 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