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화 앵커>
지방자치 단체들이 민간단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대북지원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통일부가 관련 규정을 개정했는데요.
이로써 지자체의 대북지원 사업이 한층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됩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지금까지 지방자치단체는 단독으로 대북지원사업을 추진할 수 없었습니다.
대북지원사업 사업자 지정대상에서 제외돼 있어 협업하는 민간단체 이름으로 기금 신청과 인도지원 물품 반출 승인을 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지방자치단체들도 민간단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대북지원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됩니다.
통일부가 지자체도 대북지원사업자로 승인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도적 대북지원사업 및 협력사업 처리 규정'을 개정한 겁니다.
지자체가 대북지원사업의 주체로 명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남북관계 변화에 따라 지자체가 독자적인 대북지원 사업 추진을 희망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라고 통일부는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개정안에는 지자체 등이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지원 시 사전에 통일부 장관과 사업계획을 협의하는 절차도 신설됐습니다.
아울러 남북협력기금 등 사업 지원 자금에 대한 사용 결과 보고 제출 기간을 기존 1개월에서 2개월로, 지자체의 경우 3개월 이내로 완화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통일부는 이번 개정이 분권·협치형 대북 정책을 추구하는 정부 기조를 반영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다만 현재의 남북관계를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지자체가 주도하는 남북교류가 활성화되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333회) 클립영상
- 문 대통령, 국회 시정연설···"확장예산 필수" 02:27
- "공정 위한 개혁 추진···검찰개혁 멈추지 않아" 02:24
- "2022학년도부터 대입 정시 30% 이상 될 것" 00:32
- 이 총리, 일왕 즉위식 참석···"한일 대화 촉진" 01:44
- 2차 멧돼지 포획···피해 농가 경영안정 지원 02:01
- 돌아온 미세먼지···"내년 5월까지 건강 유의" 02:23
- "한반도 평화경제, 한국 경제 도약할 기회" 02:15
- 지자체 단독으로 대북지원 추진 가능 01:44
- 러 군용기 6대 KADIZ 진입···공군 전투기 투입 00:29
-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국무회의 통과 01:46
- 홍 부총리 "예산 시기 놓치지 않고 집행해야" 00:33
- 일반국도에 '졸음쉼터' 50개소 신설 00:30
-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24% 감축" 02:00
-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310곳 구축···전국서 30분 내 도달 02:04
- 박양우 문체부장관, 아세안 언론과 공동인터뷰 00:28
- 오늘부터 檢 특수부 개편···'반부패수사부'로 변경 00:29
- 15층짜리 '정부세종 신청사' 2022년 완공 00:38
- '예타 면제' 도로사업 속도···총 6조 원 규모 02:03
- 시정연설 [뉴스링크] 02:50
- 문 대통령 시정연설 [유용화의 오늘의 눈] 02:32
- 국회 시정연설···'공정사회·검찰개혁' 강조 [오늘의 브리핑] 08:28
- 2019 국제종자박람회 개최 [뉴스팜]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