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정부가 앞으로 9년간 치매 극복을 위한 연구에 약 2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이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혜진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오는 2028년까지 1천987억 원을 투입해 치매 극복을 위한 중장기 연구에 착수합니다.
치매 조기진단과 예방·치료기술을 개발하고, 원인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연구입니다.
제2차 국가치매관리위원회
(장소: 어제 오전, 서울 밀레니엄힐튼)
보건복지부는 국가치매관리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치매 국가책임제 내실화 방안을 확정했습니다.
녹취> 김강립 / 보건복지부 차관
"치매국가책임제를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 중인 사업이 국가 차원의 치매극복 연구개발(R&D)입니다. 치매를 사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과 치매치료제 마련 등 치매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가 주도 연구를 통해 치매 발병 후 효과적인 약물 전달과 부작용 개선 등 실용화 작업에도 힘쓸 계획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급한 사정이 생기면 주·야간 보호기관에서 한 달에 9일까지 숙식과 돌봄이 가능한 단기보호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하루 3시간만 허용됐던 치매 쉼터 이용시간도 7시간으로 늘어납니다.
이밖에 치매안심센터와 건강보험공단 등 다양한 보건복지시스템을 연계해 인지기능이 떨어진 노인을 적극 발굴합니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치매전담시설 확충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내년부터 건축 지원단가도 제곱미터당 기존 150만 원에서 180만 원으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민경철 / 영상편집: 정현정)
이와 함께 치매안심센터에 통합돌봄창구를 설치해 지역사회 돌봄 관리를 한층 강화할 방침입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506회) 클립영상
- 사흘간 '가족장'···"영원한 안식 누리시길" 02:26
- 中 군용기 카디즈 진입···"핫라인 사전통보" 01:51
- 씨름, 유튜브로 화려하게 부활하다 [S&News] 03:51
-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의미와 성사과정은? 21:41
- 트럼프 "IS 유력 후계자도 제거" [월드 투데이] 06:04
- 국정운영 공백 최소화···"영향 제한적" 02:09
-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살아있는 운동 돼야" 02:08
- 안동 북서쪽 규모 2.3 지진···"피해 없을 것" 00:21
- '오픈뱅킹' 가동···앱 하나로 모든 은행 출금·이체 00:26
- 北 답신 보내와···'문서교환방식 합의' 주장 01:52
- 국가주도 치매연구에 9년간 2천억 원 투입 01:55
- '미세먼지와의 전쟁'···전국 곳곳 '주의보' 02:20
- 돼지열병 최대잠복기 지나···총기포획 시작 02:13
- 미래차 산업 비전과 정부 핵심 전략은? 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