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은 앵커>
이번에는 기업 관련 통계, 살펴봅니다.
지난해 92만 개의 기업이 새로 생기고 69만 개가 사라졌는데요.
5년 생존율은 상승 추세를 이어갔습니다.
곽동화 기자입니다.
곽동화 기자>
지난해 문을 연 기업은 92만 개로 전년 대비 7천 개 늘었습니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업, 부동산업, 건설업에서 증가율이 전년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소멸기업은 2017년 69만 8천 개로 전년대비 11.5% 증가했습니다.
산업별로는 운수창고업, 부동산업, 사업시설관리업에서 전년 대비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기업 수로는 부동산, 도소매, 숙박, 음식접업 등 생활밀접형 업종에서 신생기업과 소멸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종사자수 1인 기업은 493만 개로 전체 활동기업의 78.9%를 차지했습니다.
전화인터뷰> 윤영회 / 통계청 경제통계기획과 사무관
"부동산 임대업이 많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임대사업자 등록을 장려하는 정책 영향 등으로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신생기업 1년 생존율은 65%로 2013년 이후 이어온 상승세가 꺾였습니다.
다만, 5년 생존율은 2014년부터 지속해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산업별 생존율은 1년과 5년 모두 '전기·가스·수도업'이 가장 높았고, '금융·보험업'이 가장 낮았습니다.
지난해 20% 이상 급성장한 기업은 4천600개로 전년보다 1.7% 늘었습니다.
제조업과 건설업에서는 고성장 기업이 줄었고, 전문, 과학, 기술분야와 정보통신업에서 늘었습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성장률이 20% 이상이면서 창업한 지 5년 이하인 '가젤 기업'은 사업시설관리나 보건, 사회복지 분야에 많았고, 제조업과 도·소매업에서는 감소했습니다.
KTV 곽동화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370회) 클립영상
- 농정 타운홀미팅···"혁신·성장 혜택 돌아가야" 02:19
- 고온극복 쿨링하우스 방문···"중동 수출 길 열자" 01:54
- 문 대통령, 관세·병무·산림청장 인사 단행 00:22
- 외국인관광객 '역대 최다' 예상···관광산업 성장세 02:12
- 지방공항 환승 시 무비자 체류···"지역관광 발전" 02:20
- 발전사 산재 통합관리···"원청 책임 강화" 02:22
- '미래비전 2045' 발표···"포용적 복지국가 완성" 02:11
- 靑 '국민과의 대화' 참여자 질문에 개별 답변 00:35
- "도서정가제, 다양한 의견 수렴해 개선안 마련" 00:33
- 장애인 노동자 임금 개선···월 30만 2년간 지원 02:17
- 이 총리 "결핵 퇴치에 사회 구성원 동참 필요" 00:31
- 금융위, 은행권에 신탁판매 일부 허용 02:01
- "심부름 했을 뿐인데"···보이스피싱 단순 가담해도 처벌 02:02
- 한중일 정상회의 준비 고위급회의 내일 개최 00:27
- 액상형 담배 일부서 폐질환 유발물질 검출 00:31
- 국립부여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오늘 재개관 00:21
- 지난해 신혼부부 132만 2천 쌍···4.2%↓ 01:31
- 지난해 신생기업 92만 개···소멸기업 전년대비 11.5%↑ 02:15
- 88년으로 시간여행···당시 짜장면값은? [S&News] 03:31
- 비타민 E [뉴스링크] 02:59
- 용산기지 반환 본격화 [유용화의 오늘의 눈] 03:03
- 장애인 노동자 임금 개선···월 30만 원 2년간 지원 [오늘의 브리핑] 03:22
- 2019 농산물마케팅대상 [뉴스팜] 0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