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오픈뱅킹' 서비스가 어제부터 전면 시행됐습니다.
기존 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은행의 거래내역 조회 등 금융서비스가 가능해졌는데요.
핀테크 기업들도 참여해 소비자 유치를 위한 금융권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다른은행' 아이콘을 클릭하자 갖고 있는 은행 계좌들이 한번에 조회됩니다.
잔액조회는 물론 자금 이체도 가능합니다.
오픈뱅킹 서비스가 한 달 여간 시범운영을 마치고 전면 시행됩니다.
기존 은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오픈뱅킹에 가입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금융결제망에서 은행끼리 정보 공유가 가능해 계좌조회, 자금이체, 상품 출시 정보 등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겁니다.
이용자는 은행 별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이용자 정보를 동일하게 갖게 된 은행과 핀테크 기업은 금융상품, 우대금리 등을 통해 경쟁이 가능해집니다.
시범운영 기간 가입자 수는 이미 300만 명이 넘는 등 오픈뱅킹에 대한 관심은 뜨겁습니다.
금융당국은 이용자 수가 늘어나는 만큼 해킹이나 보이스 피싱 등 금융사고에 대비한 철저한 보안에 힘쓸 방침입니다.
녹취> 은성수 / 금융위원장
"철저한 보안점검, 일간 출금한도 제한, 금융사고에 대비한 보험가입 등 오픈뱅킹의 안정성 강화방안을 이미 마련하였습니다. 철저한 안전과 보안이 전제되어야 가능함을 다시 한번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에 따라 금융사고 시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루 출금이체 한도를 천 만 원으로 제한했고 24시간 이상거래 탐지시스템도 도입했습니다.
(영상취재: 김명신 / 영상편집: 양세형)
금융당국은 앞으로 오픈뱅킹 참가은행을 확대하고 서비스도 다양화해 이용자 편의를 더욱 높여나갈 방침입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539회) 클립영상
- 상반기 근로장려금 최초 지급···"소득 격차 줄인다" 02:29
- '오픈뱅킹' 전면 시행···핀테크 기업도 합류 02:02
- 예타 면제사업에 '지역업체' 참여 의무화 02:08
- 내년 외국인노동자 5만 6천 명 들어온다 02:01
- 주택 시장 안정화 대책 기대 효과와 과제는? 18:19
- UN총회, 15년째 북 인권결의 채택 [월드 투데이] 03:35
- SNS마켓 사기주의보 내 돈 사기 당하지 않으려면? [정책톡! 돈이툭!] 02:44
- 문체부 2차관 최윤희·정책기획위원장 조대엽 00:29
- 문재인 대통령, 확대경제장관회의 주재 00:21
- "예산부수법과 민생·경제법 조속 처리 요청" 00:31
- 한미 방위비협상 결론 못 내···내년에 계속 02:00
- "한국 성평등 수준 아시아 1위···세계 10위" 01:40
- 한-스웨덴 정상회담···"북미대화 성과 나타날 것" 02:05
- 한-스웨덴 비즈니스서밋···"평화경제, 많은 기회 제공" 02:17
- 유엔 총회, 전원합의로 북한인권결의안 채택 00:26
- 농업분야 취·창업 의무장학금 내년부터 확대 00:27
- '사학 족벌경영' 규제 강화···비리 교원 엄정 처벌 02:03
- 사학 비리 규제·감독 강화한다 14:56
- 한중 정상회담 관련 청와대 브리핑 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