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한미 방위비분담 협상이 어제(18일)까지 이틀동안 서울에서 열렸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내년 1월 미국에서 차기 회의를 열기로 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제 11차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정 연내 마지막 회의가 서울에서 이틀간 열렸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다음 회의는 내년 1월 중 미국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외교부는 우리 측이 이번 회의에서도 기존 협상 틀 내에서 협의가 이뤄져야 하며, 한미동맹과 연합방위태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공평하고 합리적이며 상호 수용 가능한 합의가 도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한미 양측은 상호 이해의 폭을 넓혀 가고 있으며, 상호 수용 가능한 합의 도출을 위해 긴밀히 협의해나가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측은 기존 협상에서 다루지 않았던 일명 대비태세 항목을 신설하자고 주장하는 상황.
다만 제임스 드하트 미국 대표는 회의 후 인터뷰에서, 미국의 요구액이 50억 달러라는 일부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요구액을 조정하고 절충해왔다는 겁니다.
녹취> 제임스 드하트 / 방위비협상 미국 대표
"우리가 합의하는 숫자는 처음 제안과는 매우 다를 것이며 현재 한국 측으로부터 듣는 것과도 다를 것입니다."
협상이 잘못되면 무역상 불이익이나 주한미군 철수로 이어질 가능성은, 지시를 받거나 협상에서 실제 제기된 적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드하트 대표는 또 반환 주한미군 기지의 오염정화 비용 우선 부담이나, 호르무즈 해협 연합 방위 기여 문제는 협상에서 제기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양세형)
제 11차 협정이 연내 타결에 이르지 못하면서, 일단 내년에는 주한미군이 자체 예산으로 집행하게 됩니다.
KTV 채효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539회) 클립영상
- 상반기 근로장려금 최초 지급···"소득 격차 줄인다" 02:29
- '오픈뱅킹' 전면 시행···핀테크 기업도 합류 02:02
- 예타 면제사업에 '지역업체' 참여 의무화 02:08
- 내년 외국인노동자 5만 6천 명 들어온다 02:01
- 주택 시장 안정화 대책 기대 효과와 과제는? 18:19
- UN총회, 15년째 북 인권결의 채택 [월드 투데이] 03:35
- SNS마켓 사기주의보 내 돈 사기 당하지 않으려면? [정책톡! 돈이툭!] 02:44
- 문체부 2차관 최윤희·정책기획위원장 조대엽 00:29
- 문재인 대통령, 확대경제장관회의 주재 00:21
- "예산부수법과 민생·경제법 조속 처리 요청" 00:31
- 한미 방위비협상 결론 못 내···내년에 계속 02:00
- "한국 성평등 수준 아시아 1위···세계 10위" 01:40
- 한-스웨덴 정상회담···"북미대화 성과 나타날 것" 02:05
- 한-스웨덴 비즈니스서밋···"평화경제, 많은 기회 제공" 02:17
- 유엔 총회, 전원합의로 북한인권결의안 채택 00:26
- 농업분야 취·창업 의무장학금 내년부터 확대 00:27
- '사학 족벌경영' 규제 강화···비리 교원 엄정 처벌 02:03
- 사학 비리 규제·감독 강화한다 14:56
- 한중 정상회담 관련 청와대 브리핑 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