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마이스터고 등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전문대 진학 후 일을 하며 석사학위까지 취득할 수 마이스터대학이 도입됩니다.
정부의 전문대학 혁신방안 곽동화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곽동화 기자>
직업계고 졸업생이 전문대나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길이 열립니다.
교육부는 고숙련 실무형 전문 기술인재 육성을 위한 새로운 고등직업교육 모델인 가칭 '마이스터대학'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소재 부품 장비산업, 미래 신산업 분야 등 학과를 중심으로 선정되고, 전문대학의 일부 학과나 해당 대학 전체가 마이스터대 모델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도입됩니다.
내년 정책연구를 진행한 다음 2021년 권역별로 1∼2개 대학이 시범 운영되는데 교육부는 이후 4년제 대학도 마이스터대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AI 관련 기업체와 전문대가 협약을 맺어, 대학이 직업계고 학생을 조기 취업 형태로 선발하는 'AI계약학과'도 도입됩니다.
2022년 5곳 전문대에서 시범 운영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합니다.
또 전문대에서 4년간 교육과정을 듣고 학사학위를 받는 '전공심화과정'은 입학 기준이 완화됩니다.
입학정원 20%로 정해진 상한 기준은 완화 또는 폐지하고, '타 계열 졸업자'에게도 문이 열립니다.
현장 중심 교육 과정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됩니다.
현장 전문가 출신 교원을 늘리고, 기존 교원이 산업체에서 연수 받을 수 있는 기회도 확대합니다.
전문대 혁신지원을 위한 예산도 올해 2천908억 원에서 내년 3천908 억 원으로 1천억 원 오릅니다.
또 우수 전문대생을 위한 전문 기술인재 장학금을 신설합니다.
(영상편집: 양세형)
생활비 200만 원을 지원하는Ⅰ유형 장학금은 학기당 300명에게 돌아가고, 등록금을 지원하는 Ⅱ유형은 학기당 700명에게 지급됩니다.
KTV 곽동화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541회) 클립영상
- 2020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용계획 브리핑 17:26
- 문재인 대통령 중국 방문···한중·한일 정상회담 전망과 과제는? 16:52
- 마크롱 "대통령 특별연금 포기" [월드 투데이] 04:37
- 만 12세 여아라면 기억하세요! 자궁경부백신 무료접종 [정책톡! 돈이툭!] 02:45
- 문 대통령, 베이징 향발···잠시 뒤 한중 정상회담 02:25
- 문 대통령, 피자 선물···"근로장려금 업무 노고 치하" 00:36
-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높은 수준 FTA 목표" 00:30
- 월소득 148만 원 이하 노인 단독가구 기초연금 지급 01:51
- 전문대서 석사학위···2021년 '마이스터대학' 도입 02:10
- 서울시, 연말연시 개인택시 공급 확대·승차거부 단속 00:24
- '재생에너지 3020' 2년···발전비중 7.6→8.6% 02:15
- 한·중 환경협력센터···미세먼지 공동대응 02:28
- '홈리스'를 위한 기적 [S&News] 04:35
- 북미 간 대화 재개를 위한 남은 과제는? 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