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은 앵커>
요즘 농촌에는 첨단 기술과 접목된 '스마트팜'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정부가 스마트팜을 우리 농업의 기회로 삼아, '플랜트 수출'을 늘리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김용민 기자입니다.
김용민 기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과 접목된 스마트팜.
지난 2017년 한 해 전국에 4천여 ha 보급된 스마트팜 올해에는 5천 17ha가 보급되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세계 시장에서도 연평균 12.4% 증가하는 등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스마트팜 플랜트 수출 확대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우선 스마트팜 수출을 패키지로 지원할 방침입니다.
녹취> 윤동진 /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
"인력 파견·현지 교육·시장조사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신규사업을 내년도에 추진합니다."
스마트팜의 시공, 시설자재, 기자재 등의 컨소시엄 형태의 플랜트 수출 지원을 추진하고,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전문인력을 배출해 해외시장에 파견하기로 했습니다.
또 업계의 가장 큰 어려움이었던 자금 조달을 위해 수출입은행의 전대금융 활용률을 높이고, 수출대금 회수를 쉽게하도록 신용장확인 제도를 확대 지원합니다.
정부는 또 스마트팜 혁신밸리 중심의 종합 지원체계를 마련합니다.
경북 상주, 전북 김제 등 선정지역에서 혁신밸리가 빨리 조성되도록 하고,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기술 고도화를 통해 한국형 스마트팜 고급화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이승준)
이와 함께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에 스마트팜을 주제로 한 ODA 사업을 집중 추진하고,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과 공동연구를 하는 등 협력을 통한 수출 확대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같은 지원을 통해 지난해 1억달러 규모였던 스마트팜 수출을 2025년까지 3억달러 규모로 끓어올릴 계획입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377회) 클립영상
- 한중 정상회담···"북미대화 모멘텀 살려야" 02:25
- 내일 한일 정상회담···관계 개선 기대감 02:26
- 내일 한일 외교장관회담···정상회담 의제 논의 00:26
- 남관표 주일대사 "한일정상회담 긍정 메시지" 01:44
- 고가주택 취득 257명 세무조사···"자금출처 전수 분석" 02:46
- 내년 3월까지 전국 아파트 8만 3천가구 입주 00:27
- 서민금융 정부 출연금 연 1천900억으로 확대 00:25
- 1~11월 벤처투자 3조 8천억···4조 돌파 기대 00:25
- 2021년 동아시아 문화도시 '경주' 선정 00:30
- 용산공원 구역, 303만㎡ 규모로 확장 02:11
- 배출권 유상할당 10%로 확대···온실가스 감축 01:46
- 스마트팜 수출 지원···2025년까지 3억달러 목표 01:56
- 고용부 내년 10대 과제…40대 일자리·실업부조 중점 02:40
- 중기 정책자금 4조 6천억 원···신산업 지원 강화 02:01
- 국가성평등지수 72.9점···의사결정 여전히 꼴찌 02:16
- 법무·검찰개혁위, '검찰옴부즈만' 설치 권고 00:32
- 사회복무요원 '인사행정 이의신청기구' 설치 00:29
- 정부, 北 태풍피해 복구에 20억원 지원 00:34
- 자궁·난소 초음파 건보 적용···연간 700만 명 혜택 03:54
- 청두 [뉴스링크] 03:12
- 성평등지수 상승 [유용화의 오늘의 눈] 03:11
- 중기 정책자금 4조 6천억 원···신산업 지원 강화 [오늘의 브리핑] 0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