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앵커>
지난달 산업생산이 0.4% 증가했습니다.
생산·소비·투자 등 산업활동 주요지표가 일제히 반등했는데요, 자세한 소식, 이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혜진 기자>
지난달 생산·소비·투자 등 산업활동 주요 지표가 부진을 딛고 일제히 반등했습니다.
11월 산업활동동향 브리핑
(장소: 오늘(3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산업생산은 10월보다 0.4% 증가했습니다.
석 달 만에 증가로 전환한 겁니다.
광공업생산이 자동차와 금속가공 중심으로 0.5% 줄었지만, 서비스업 생산이 1.4% 늘어 전체 산업생산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녹취> 김보경 / 통계청 산업동향과장
"전산업 생산은 광공업, 건설업 등에서 감소했으나 서비스업 생산이 늘어 전월에 비해 0.4% 증가했습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10월보다 3% 늘었습니다.
추운 날씨로 가격이 비싼 겨울옷 등 준 내구재 판매가 5.6% 늘었고, 신차 출시와 홍보 효과로 내구재 판매도 3.4% 증가했습니다.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대규모 쇼핑행사 영향도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설비투자는 항공기 등 운송장비 투자가 늘어난 가운데 10월보다 1.1% 늘었습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반면, 앞으로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4포인트 올랐습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정현정)
통계청은 건설업체가 시공한 실적을 수치로 보여주는 건설 기성이 1.8% 감소해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하락했지만,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3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어 향후 경기상황에 대해선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546회) 클립영상
- 외식창업 인큐베이팅, 2019 우수 청년키움식당 10:41
- 2019년 한국경제보고서, 성과와 과제 [경제&이슈] 24:44
- 양심적 병역거부자 등 5천174명 신년 특별사면 02:18
- 靑 "국민 대통합 사면···정치사범 제한적" 02:15
- 수석보좌관회의···"檢 개혁 제도화 막바지 단계" 02:35
- 올해 마지막 국무회의···예산부수법안 등 의결 01:57
- 11월 산업생산 0.4%↑···생산·소비·투자 '반등' 02:00
- 병 영창제도 폐지···2020년 달라지는 국방업무 02:25
- "북한 도발시 미국도 실망감 드러낼 것" [월드 투데이]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