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은 앵커>
강원도가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습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유치했던 경험과 인프라가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요.
박지선 기자가 유치 성공 요인을 짚어봤습니다.
박지선 기자>
녹취> 토마스 바흐 / IOC 위원장
"제4회 동계 청소년올림픽은 대한민국 강원도에서 개최하게 됐습니다."
IOC 위원들은 강원도의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경험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당시 설치했던 경기장 등 인프라를 활용해 차기 대회를 개최할 능력이 충분하다고 본 겁니다.
개최지 선정을 맡은 IOC 내 미래유치위원회는 대회 유치비용과 향후 지속가능성 등을 주요 평가항목에 올렸고,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우리나라 대표단은 평창올림픽 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예산 투입을 최소화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동계스포츠 불모지인 아시아에 동계청소년올림픽 대회를 알릴 수 있다는 점도 작용했습니다.
2012년 오스트리아에서 처음 열린 동계청소년올림픽은 그동안 노르웨이, 스위스 등 유럽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강원도는 아시아 지역에서 열리는 첫 대회가 됩니다.
우리 정부가 다른 나라 청소년들의 동계스포츠 체험을 도왔던 점도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준비를 시작한 2004년부터 몽골 등 눈이 오지 않는 나라의 청소년들을 강원도로 초청해 동계스포츠 체험 기회를 준 '드림 프로그램'이 대표적입니다.
이로써 단독후보에 오른 강원도는 유효투표 81표 가운데 찬성 79표를 받아 압도적인 지지 속에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습니다.
대회 기간, 강원도 평창과 강릉, 정선 일원에선 평창올림픽 때의 열기를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게 됐습니다.
(영상제공: 올림픽채널 아리랑TV / 영상편집: 김종석)
한편, 강원도와 IOC는 향후 남북관계 개선을 고려해 북한에서의 분산 개최 가능성을 열어놓기로 했습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390회) 클립영상
- 내일 신년기자회견···90분간 일문일답 02:35
- "한미 외교장관회담, 북한·중동 문제 협의" 02:15
- 14~15일 한미 방위비 협상···"협정 공백 최소화" 02:13
- 北 비난에 정부 "서로 지킬 건 지켜야" 02:12
- 저출산위 부위원장 서형수·권익위 부위원장 김기표 00:26
- 靑, 인권위에 '조국 수사 인권침해 청원' 전달 00:30
- 지난해 고용보험 51만 명 증가···12년 만에 최대 01:56
- 직무·능력 중심 임금체계 개편 지원 02:30
- '수소경제' 추진 1년···세계 시장서 우뚝 02:39
- 작년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 7만3천명 00:23
- 숨은 보험금 찾기 캠페인···"11조원 받아가세요" 00:32
- 지난해 102곳서 고교학점제···"학생중심문화 확산" 00:23
- 강화서 '구제역 감염 항체' 추가 검출···방역 강화 02:19
- '어게인 평창'···강원도, 동계청소년올림픽 연다 02:09
- '폭력피해 이주여성 상담소' 올해 4곳 확대 02:08
- 국회, 정세균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가결 00:23
- 환경기업에 2천723억원 융자 지원···20일부터 접수 00:38
- 청년창업사관학교 1천35명 모집···다음달 6일까지 00:35
- 중기부, '초기 창업기업 지원' 대학·기관 모집 00:32
- 1~10일 수출 133억 달러···지난해 대비 5.3%↑ 03:18
- NSP 항체 [뉴스링크] 03:21
- 북미협상 재개될까? [유용화의 오늘의 눈] 02:15
- 2020년 청년취업지원정책 확인하세요 [똑똑한 정책뉴스] 0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