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영 앵커>
과거 주민등록등·초본을 금융기관 등 각 기관에 제출하기 위해서는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해 종이증명서로 발급 받아 기관을 찾아가 제출하거나 온라인으로 제출해야 하는 경우, 종이증명서를 스캔해 이메일로 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요, 이제는 '전자문서지갑'으로 이 모든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전자문서지갑'이란 주민등록등·초본을 별도의 출력 없이 정부24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바로 제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전자문서지갑은 지난해 12월부터 시범사업으로 처음 시작했는데, 1월말 기준 주민등록등·초본 전자증명서 발급은 29,686건, 제출은 12,321건으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민등록등초본만 발급받을 수 있다는 아쉬운 점이 있었는데요.
그래서 올해 2월 14일부터는 국민들이 많이 발급받는 12종의 전자증명서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특히 은행대출을 이용할 때 필요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도 이제 전자증명서로 발급이 가능해 금융서비스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전자증명서를 발급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정부24' 앱만 설치하면 되는데요, 스마트폰에서 정부24 앱을 다운 받은 후 전자문서지갑 이용약관에 동의해 전자문서지갑을 활성화합니다.
이후 앱에서 자신이 필요한 전자증명서를 발급 신청하고, 수령 방법만 전자문서지갑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발급받은 전자증명서는 전자문서지갑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유의해야 할 점은, 전자증명서도 종이증명서와 동일하게 유효기간이 있기 때문에 발급받은 후 유효기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다운 받은 전자증명서를 각 기관에 제출하는 방법을 알아볼 텐데요.
상대방의 전자문서지갑 주소 또는 QR코드를 확인하고, 전자증명서 보내기를 선택합니다.
상대에게 받은 전자증명서는 전자문서지갑 메뉴 '받은증명서'에서 바로 조회가 가능하고, 다운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스마트폰 하나로 이뤄지다 보니 불안해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지금부터 전자증명서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스마트폰을 잃어버리면 다운 받은 전자증명서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전자증명서는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본인만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자기정보 저장소에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만약 스마트폰을 잃어 버려도 유출에 대한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전자증명서는 위조가 가능할까도 궁금한데요, 전자증명서는 블록체인 보안, 시점확인기술 등 최신 보안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합니다.
그럼 스마트폰으로 다운 받은 전자증명서는 출력이 가능할까요?
본인이 참고하기 위해 열람용으로 출력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행정안전부는 보다 더 편리한 증명서 발급을 위해 전자증명서 12종 추가에 이어, 올해 말까지 국세 납세증명 등 발급이 가능한 증명서를 총 100종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똑똑한 정책뉴스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582회) 클립영상
- 오늘부터 마스크 수출 제한···대구·청도 우선 공급 02:15
- 대구 전격 방문···"비상 상황, 가용자원 모두 동원" 02:29
- 의료진·공무원 격려···"종식 때까지 함께 이겨내자" 02:10
- 대구서 본격 현장지휘···"코로나 이길 수 있어" 02:13
- 코로나19 긴급 대책비 특교세 513억 지원 00:31
- 문체부, 코로나19 피해 스포츠업계 200억 특별융자 00:29
- 경찰, 17개 단체 도심집회 금지통고 00:24
- 병상 1천600개 확보···신천지 신도 전수조사 02:28
- 정신과 폐쇄병동 전수조사···공공기관 차량 2부제 중지 01:41
- 확진자수 계속 늘어···첫 외국인 사망자 나와 02:29
- 국회 오늘 정상화···본회의서 코로나3법 처리 00:24
- 수도권 공공분양주택 거주의무 위반시 환매 의무화 00:30
- 민관 합심으로 대외 리스크 줄인다, 코로나19 수출지원대책은? 14:44
- 유럽, 이탈리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산세 [월드 투데이] 05:03
- 정부24시 전자증명서 13종으로 확대 [똑똑한 정책뉴스] 03:55
- 코로나19, 확산 현안 및 정부대응 과제는? 14:03
-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0. 02. 26. 11시) 5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