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네, 또 다른 언론보도를 살펴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기업들의 유동성이 불안해지는 가운데 정부에서 대기업에 대한 선제적 자금 지원은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다고 일부 언론에서 보도했는데요.
관련 논란부터 정부 입장까지 사실관계를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 최범석 사무관 연결되어 있습니다.
(출연: 최범석 /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 사무관)
임보라 앵커>
일부 언론에서 대기업의 시장 자금조달 우선과 자구노력 선행을 언급한 금융위 부위원장의 모두발언을 인용해 코로나19 금융지원 대상에 대기업도 전향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을 조기 차단 한 것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왜 이런 얘기가 나오게 된 거고 정부 입장은 어떤가요?
임보라 앵커>
최근 정부가 100조원 이상의 금융지원대책을 발표하면서 대기업도 지원 대상에 포함하겠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기업 지원이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는건데요.
앞으로 정부에서는 어떻게 지원할 예정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또 일각에서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면서 기업 자금 위기설을 제기하기도 하는데 정부에서는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어요.
관련 주장 어떻게 봐야 할까요?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최범석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 사무관이었습니다.
오늘 자세한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특별생방송 (715회) 클립영상
- 정 총리 "불요불급 목적 외국인 입국제한 확대" 00:37
-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유흥업소 합동점검 02:04
- 러시아 교민 261명 귀국···126개국서 '진단도구 요청' 02:18
- 인천공항 검역소 방문···"해외유입 차단 노력 감사" 02:01
- 靑 "긴급재난지원금, 추경 심의서 논의" 02:11
- 온라인 개학 준비 '속도'···수업 장비·인터넷 지원 02:27
- 한전, 소상공인 전기요금 납부유예 오늘부터 접수 00:29
- 해열제 먹고 감염 사실 숨기는 입국 사례 늘어, 형사처벌 가능 여부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04:34
- 대기업에 선제적 자금지원 불가능하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4:32
- 자영업자·프리랜서 대상 긴급 지원 기대효과는? 12:33
- 프랑스·영국 확산세 심화 [월드 투데이] 03:04
- 전지적 외신기자 시점, ‘한국 코로나19 대응’ 취재기! 05:11
- 코로나19 치료법, 임상 상황과 개발 가능성은? 12:56
- 코로나19 국내 대응현황 브리핑 (20. 04. 08. 11시) 4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