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앵커>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시한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가 제2차 생활방역 위원회를 열어 앞으로의 코로나19 대응방향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감염 차단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생활방역 지침 마련에 나서기로 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다가오는 일요일인 19일 정부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 기간이 끝납니다.
제2차 생활방역위원회
(장소: 오늘, 서울 서초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를 앞두고 정부가 방역 의학전문가, 시민사회 대표가 참여하는 2차 생활방역위원회를 열고 '생활 방역'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지난 1차 회의에서 생활방역의 개념과 비롯해, 전환 시기 등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생활방역으로 전환된 이후 일상에서 어떻게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오갔습니다.
녹취>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을 영위하면서도, 코로나 감염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일상을 만드는데 국민들께서 함께 학습하여 참여하고 실천하실 수 있도록 사전 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참석자들은 확진 환자 증가세가 줄었지만, 여전히 감염원을 알 수 없는 환자가 발생하고 있어 방역에 대한 긴장을 늦추지 않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만드는 것이 숙제라는데 공감했습니다.
앞서 방역당국도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과 동시에 일상생활 속에서 감염예방과 차단활동을 함께 하는 지속 가능한 생활방역 체계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김강립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
"다만 생활방역체계는 지역사회 전파가 대규모 감소하는 경우 가능한 것이므로 현재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보다 철저히 실천해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한편 방역당국은 국민 의견을 반영한 생활방역 지침 마련을 위해 지난 12일부터 2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5일 오후 기준 5천 백여 명이 생활방역수칙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취재: 채영민 민경철 / 영상편집: 김종석)
정부는 국민의견 수렴을 거쳐 생활방역 전환을 위한 조건과 시기를 최종 확정한다는 계획입니다.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특별생방송 (737회) 클립영상
- 코로나19 극복에 150조 투입···간접지원 포함 500조 02:19
- 문 대통령 "코로나19 대응 자세에 세월호 교훈 담겨" 00:31
- 코로나19 극복 지역경제 활성화, '밥도 먹고, 마스크도 받고!' 캠페인 06:01
- 전국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02:08
- 온라인 개학 장기화, 학교급식 중단 피해 구제방안 [경제&이슈] 30:36
- 2차 추경안 '긴급재난지원금' 임시국무회의 의결 01:59
- 재산세 9억·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고액자산가 제외 02:45
- 문 대통령 "위대한 국민의 선택···막중한 책임 느껴" 02:19
- 선거사범 1천270명 입건···공소시효까지 엄정 수사 02:18
- "코로나19 사태 속 본보기" 외신들 총선 주목 02:31
- 추가 확진 22명···나흘째 20명대 유지 02:27
- "생활방역, 경제·사회활동과 감염예방 함께해야" 02:13
- 미국 코로나19 환자 61만 돌파 [월드 투데이]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