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정부는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 55만 개 일자리를 창출해 고용충격을 완화하기로 했는데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채용 연기 등으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청년과 취약계층을 지원합니다.
계속해서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정부는 3조 6천억 원을 투입해 공공부문과 청년 일자리 55만 개를 창출합니다.
우선 대면 접촉이 적고 일손이 부족한 비대면·디지털 분야 정부 일자리를 10만 개 만듭니다.
최대 6개월 동안 한 주에 15~40시간 일하는 최저임금 이상 수준 단기 일자리입니다.
또 실직자나 폐업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 30만 명에게 방역, 환경보호 같은 야외 업무 공공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이 역시 최대 6개월 한 주에 30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단기 근로입니다.
녹취> 이재갑 / 고용노동부 장관
"청년과 취약계층을 위해 단 하나의 일자리라도 더 만들겠습니다. 우선 민간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되도록 공공부문에서의 일자리를 확대하겠습니다."
정부는 민간부문에선 IT분야를 중심으로 청년 일자리 5만 개를 창출합니다.
아울러 채용 여력이 부족한 사업장에서 청년을 채용하면 5만 명에 대해 월 80만 원씩 6개월 동안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특별고용지원업종이나 코로나19 영향 시기에 이직한 청년을 채용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선 월 100만 원씩 6개월 동안 지급합니다.
이와 함께 구직활동 중인 실업자에게 지급되는 구직급여 예산을 3조 4천억 원 확대합니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가 24.6% 증가한 것을 반영한 겁니다.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 동안 지급하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은 5만 명을 더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근로자 생계비 융자 한도를 2천만 원에서 3천만 원으로 상향하는 한편 지원 규모를 2만 명 확대합니다.
취업성공패키지도 저소득층,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 청년층 11만 명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고용노동부는 지금 지켜낸 일자리는 향후 우리 경제회복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박민호)
사업추진에 필요한 규정을 신속히 개정하고 국회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대책을 효과적으로 이행해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
KTV 임소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593회) 클립영상
- 1분기 성장률 -1.4%···2008년 4분기 이후 최저 00:27
- 공항사용료 감면·납부유예 8월까지 연장 00:39
- "기간산업안정기금 40조·긴급고용안정대책 10조" 02:34
- 특고·프리랜서도 月 50만 원···'고용 유지' 지원 02:12
- 공공·청년 일자리 55만 개 창출···"고용충격 완화" 02:22
- "생활속 방역 준수, 우리에 남겨진 중요한 과제" 00:31
- 40개국서 'K-방역' 요청···국제방역협력 TF 신설 02:29
- 오늘 '동해북부선' 남북협력사업 인정 여부 결정 00:32
- 국제 유가, 사상 첫 마이너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사실은 이렇습니다] 05:07
- 코로나 이후 119 구급대원, 마스크 부족하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04:54
- 위기 극복 넘어 혁신성장 동력 기회로 고용 안정·기업 안정화 지원 대책은? 16:29
- 트럼프 "영주권 60일간 발급 중단" [월드 투데이] 04:31
- 안전한 서비스 사용 지원 위해 보안 모니터링·점검 강화한다 09:25
- 코로나19 국내 대응현황 브리핑 (20. 04. 23. 11시) 3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