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범정부 지원단 본격 가동···"연구심의 일주일로 단축"
등록일 : 2020.04.26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의 신속한 개발을 돕는 '범정부 지원단'이 본격 가동했습니다.
심의를 거치는 시간을 일주일 내로 줄이고, 심의 면제가 가능한 연구부터 신속하게 처리하기로 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코로나19 치료제? 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이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치료제와 백신 개발 동향을 점검하고, 연구 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추진 계획 등을 논의했습니다.
공동단장을 맡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치료제와 백신 개발은 국민 건강과 경제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듯이 코로나19는 쉽게 극복되지 않을 전망이며 재유행 가능성도 높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코로나19의 궁극적인 극복을 위해 치료제와 백신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코로나19와 관련해 30여 종의 치료제와 백신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존 약물 적응증을 확대하는 약물재창출 연구 7종이 임상시험 중이고 이 가운데 4종은 빠르면 올 연말 출시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정부는 신속한 개발을 위해 환자 안전과 연구윤리, 국제 표준 등 기본 원칙을 토대로 임상시험 지원 우선순위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임상시험 수요에 비해 최근 확진자 감소로 환자 수는 물론 임상시험 지원이 가능한 시간에도 제한이 있는 만큼 우선순위를 정해 지원을 집중합니다.
또 공용 기관생명윤리 위원회를 통해 심의 대기 기간을 기존 1~2개월에서 일주일 이내로 대폭 단축하기로 했습니다.
심의 면제가 가능한 연구를 접수해 먼저 처리하고, 다음 달 안에 특별심의위원회를 신설해 심의 면제 대상이 아닌 연구도 빠르게 진행되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 밖에도 치료제와 백신, 방역물품·기기 개발 전반에 걸친 범정부 로드맵을 수립합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정현정)
국내 치료제·백신 개발 목표와 일정, 규제개선 지원 계획 등을 오는 6월 초까지 단계적으로 발표할 방침입니다.

KTV 임소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