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가습기 살균제 사고를 계기로 2015년, 화학물질 등록평가법이 제정되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개정안을 두고 일부 언론에서 정부가 규제를 높이고 피해가 커지자 세금을 투입했다며 지적했는데요.
관련 내용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 황나경 사무관 모시고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황나경 /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 사무관)
최대환 앵커>
2015년 제정 된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 지난 해 1월부터 개정시행 되었습니다.
그런데 일부 언론에서 등록의무가 발생하는 신규화학물질의 무게를 환경부가 일방적으로 100kg으로 변경했다고 하는데요.
사실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이러한 등록기준이 유럽, 일본의 등록 기준보다 규제 강도가 10배나 높은 것 이라고 하는데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그런데, 언론에서는 신규화학물질의 규제기준을 높인 뒤 중소기업에서 애로사항이 생기자 환경부가 기업을 대신해서 등록·승인에 세금을 사용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등록지원사업을 의미하는 것 같은데 이 사업은 화평법 개정 이전부터 시행되고 있던 사업 아닌가요?
최대환 앵커>
그런데, 이러한 등록지원사업을 두고 국민의 세금을 들여 기업의 등록업무와 비용을 우회지원하는 근거 규정은 없다며 지적하고 있습니다.
화학물질이라면 국민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인데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안전한 화학물질 관리,앞으로는 어떻게 진행 될까요?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 황나경 사무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607회) 클립영상
- 문 대통령 "스승은 학교 떠나서도 영원한 스승" 00:30
- "방역체계는 국민 참여로 완성···진담검사 당부" 00:39
- 이태원발 잇단 추가 확진···유흥시설 점검 강화 02:13
- 방역지침 미준수 집합금지···"등교 연기 검토 없다" 02:42
- 스타트업 청년리더와 간담회···"K유니콘 추진" 02:25
- 재난지원금 '5·0' 신청···18일부터 현장접수 00:22
- 화상면접···해외기업과 구직자 연결 02:28
-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 공연장 생활방역 지침은? [사실은 이렇습니다] 05:20
- 신규화학물질 등록기준···일방적으로 변경? [사실은 이렇습니다] 05:47
- 코로나발 경제 쇼크 장기화 대응 과제는? 11:05
-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준비가 이루어질까? 03:46
- 일본, 코로나 긴급사태 조기해제 [월드 투데이] 04:09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판 뉴딜' 14:51
- 코로나19 국내 대응현황 브리핑 (20. 05. 15. 11시) 34:25
- 긴급재난지원금 신청하세요 [클릭K] 04:45